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쪼여 성분분석 ‘광학기술’…
미생물
이용한 ‘대사공학’…
2015.10.26
한층 효율이 높은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먼 미래엔 유전자 조작
미생물
을 이용한 ‘대사공학’도 이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매스 발효 효과를 극대화한 세균을 개발하고, 이 세균을 이용해 쓰레기 속 유기물질을 석유 등의 자원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아직 상용화 단계는 ... ...
하와이 ‘화성체험시설’에 고립 훈련중인 과학자 전격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15
만들고 있어요. 동료 과학자는 연구를 위해 다양한
미생물
을 갖고 있어요. 우리는 이
미생물
을 이용해 빵과 치즈, 여러 발효 음식을 만들 수 있지요. 또, 저는 생물학자라 연구를 위해 채소를 갖고 왔어요. 덕분에 신선한 샐러드도 먹을 수 있지요.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신선한 과일을 정말 먹고 싶다는 ... ...
“한국 과학계 너무 성과만 생각해… 새로운 아이디어 개척해야”
2015.10.13
그룹의 생명공학 분야 편집자다. 그는 영국 킹스칼리지런던(KCL)에서 분자생물학과
미생물
학 박사학위를 받고 연구원 생활을 지냈다. 4년간 생명공학분야 유력 학술지인 ‘커런트 오피니언 인 바이오테크놀로지(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의 편집장을 거쳐 1996년 부터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 ...
“실패 거듭해도 포기는 없다”… 노벨의학상 수상 中-日 교수 ‘한우물 열정’
동아일보
l
2015.10.07
늘 작은 비닐봉지와 숟가락을 갖고 다니며 출퇴근할 때, 출장 갈 때마다 흙을 채취해
미생물
을 연구했다. ‘생애 한 번이라도 약이 되는 성분을 찾아내면 행운’이라는 말과 달리 그의 연구팀이 의약품이나 농약으로 활용되는 화학물질을 26가지나 발견한 것도 이런 노력의 결과다. 그는 5일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관심을 보였고 기타자토연구소와 머크연구소 사이에 다리를 놓아줬다. 오무라는 토양
미생물
가운데서도 스트렙토미세스속(streptomyces)에 관심이 많았는데, 유명한 항생제인 스트렙토마이신도 여기서 발견했다. 오무라는 수천 가지 시료에서 유효 물질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50여 균주를 골라 ... ...
[2015 노벨 생리의학상, 왜 그들이 받았나]年 2억 명에게 희망, ‘기적의 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5.10.05
발견해 생물체에 약물 성분으로 쓸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일본의 토양 생물에서
미생물
을 추출하고, 이를 실험실 수준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스테렙토마이세스의 다양한 배양물의 특성을 정리해 향후 약물로 사용할 수 있는 50개의 배양물을 추렸다. 그 중 ‘스테렙토마이세스 ... ...
화성에도 여름엔 물 흐른다
2015.09.30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액체 상태의 물은 생명이 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인 만큼
미생물
이 과거에 생존했거나 오늘날에도 생존할 가능성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며 “훗날 물이 있는 화성 표면을 탐사할 때 혹시 존재할지 모를 화성 생태계를 해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먹이 사슬을 한눈에 보다
수학동아
l
2015.09.25
얼룩말이 뜯어 먹습니다. 얼룩말은 육식동물인 사자가 잡아먹습니다. 사자가 죽으면
미생물
이 사체를 분해해 땅을 비옥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다시 땅에서 풀이 자라나지요. 이런 자연의 법칙을 한 눈에 볼 수 있을까요?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진화생물학과 앤드류 돕슨 교수팀은 생태계의 먹이 ... ...
올해 노벨과학상… 여성 수상자 대거 나올까
2015.09.25
휘팅햄 미국 빙엄턴대 교수가 노벨 화학상 수상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인간과 장내
미생물
사이의 관계를 입증한 제프리 고든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후보로 꼽혔다. ... ...
적게 먹으면 오래 산다? 이유 있었네
2015.09.22
상식이다. 국내 연구진이 상식을 과학적으로 풀어 이유를 밝혀냈다. 김정윤 충남대
미생물
․분자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써투(Sir2) 단백질이 소식을 할 때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써투 단백질은 다양한 실험 생물의 수명을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