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30분 안에 인플루엔자 확진 진단기 개발
2015.07.31
사용해 시약 검사를 한 번만 진행해도
미생물
을 여러 종 검출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
미생물
에 감염된 경우 시약 색깔을 변하게 만들어 전문 의료인이 아니어도 검사 결과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한 교수는 “신종 바이러스가 유행하면 시약의 종류를 바꾸는 방식으로 최대 한 달 안에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07.28
비결은 뭘까. 답은 제균필터에 있다. 열처리로 살균하는 대신 미세한 필터에 걸러
미생물
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 다른 비결은 청징농축액이다. 천연과즙을 제조하는 데는 즙을 짜거나 여과하는 방법, 그리고 청징법 등이 있다. 이중 청징법은 과즙을 탁하게 하는 물질을 제거해 투명하게 만드는 ... ...
심해 지질 전문가의 ‘마지막 논문’
2015.07.24
채 지난해 위암으로 유명을 달리했다. 박 연구원은 해저 2.5km에서 석탄층을 채취해
미생물
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간 과학자들은 생물이 살 수 있는 해저 하한선이 1km 정도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성록 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심해와 같은 극한 환경에 사는 해저 생물은 ... ...
감염병, 철저한 사전예방·관리 위해 면역 약한 영유아 예방지원 강화해야
동아일보
l
2015.07.22
등의 원인들을 살펴 법정 감염병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감염원인
미생물
을 최대한 제거하고 위험성에 따라 백신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 관리법이기 때문이다. 세균성 감염병에 비해 치료법이나 백신 개발이 힘든 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에 대한 연구와 철저한 사전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이런 바이오해커들이 모이는 축제다. 이들은 항암 성분이 포함된 맥주를 개발하거나
미생물
에게 먹이를 적절하게 제공하는 스위치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바이오해커의 목표는 어디로 향하게 될까. 애초의 바람처럼 누구나 생명공학 기술에 수혜를 입을 수 있는 방향으로 흘러갈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재정의(숙주와
미생물
의 공생체라는)가 필요하다는 논의까지 있지만, 식물 역시 거주
미생물
과 삶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즉 사실상 모든 식물에는 식물내생생물로 불리는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거주하면서 식물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도티 교수팀이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진행한 지아오얀 팡 상하이지아오통대 교수는 “판다의 특이한 식단에 판다의 장내
미생물
이 적응하지 못한 것”이라며 “판다는 진화적 딜레마에 빠졌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과학원(CAS)은 ‘사이언스’ 10일자에 판다의 꿈쩍도 않는 생활 습관과 관련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원래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시간이 걸렸다. 반면 우리나라 태안이나 멕시코만은 따가운 햇빛이 기름을 분해하고
미생물
이 활발히 먹이로 삼으면서 빠른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기름유출로 큰 피해를 본 생물들도 많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큰돌고래로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기름유출로 상황이 악화된 ... ...
자일리톨 만드는 ‘슈퍼
미생물
’ 개발
2015.07.02
“자일리톨의 경우 다양한 합성수지와 고분자물질의 원료를 만든 데 쓰인다”며 “이
미생물
의 유전자를 변형시키면 바이오디젤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물질을 만드는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제2의 메르스 막으려면 ‘감염병 전쟁’ 수준의 대처 필요”
2015.07.01
키웠다”고 비판했다.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서승용 서울대 의대
미생물
학교실 교수는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과 큰 자본이 투자돼야 하고 이를 보상받을 수 있는 큰 시장이 필요하다”면서 “메르스의 경우 시장이 크지 않아 백신 개발이 쉽지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