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DNA"(으)로 총 2,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만 년 전 러시아 동굴, 두 인류 공존했다” 동아사이언스 l2019.01.31
- 최근까지 모두 8개의 인류 뼛조각 또는 치아 조각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화석 속 DNA를 정밀하게 해독해 분석한 결과 그 중 4개 화석의 주인공은 수만 년 전까지 아시아 대륙 일부에 거주한 것으로 추정되는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으로, 3개는 비슷한 시기에 유럽 지역에 살던 친척인류 ... ...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근육 생기는 약,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등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9.01.29
- TB)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효율이 좋아 세포 내 신호전달 등 생명 현상을 직접 DNA에 기록해 질병이나 작물 연구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센터장은 “바이오 분야에서 향후 기술적·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연구개발 주제를 제안한 게 의의”라며 ...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신화 올해도 계속된다동아사이언스 l2019.01.24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도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오작동에 대한 보호장치가 없어 엉뚱한 DNA를 잘라내거나 너무 제한된 유전자 범위를 잘라낼 가능성이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2019년 주목해야 할 기술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소 기술을 꼽아 ... ...
- '백신접종은 反자연주의' 그릇된 신념이 홍역이라는 유령을 되살렸다 동아사이언스 l2019.01.23
- 바이러스는 물론 홍역도 돌연변이를 예측하기 힘든 RNA바이러스다. 이런 RNA 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보다 불안정하기 때문에 돌연변이가 일어날 확률이 1000배 이상 높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RNA를 복제하는 동안 돌연변이가 일어나도 교정하는 ... ...
- DNA를 회로처럼...원하는 효소 찾는 '인공 유전자 회로' 기술 나와동아사이언스 l2019.01.22
- 염 선임연구원팀은 엡실론-카프로락탐이 만들어질 때에만 세포가 녹색 형광을 내도록 DNA를 설계한 뒤 이를 미생물에 넣어, 엡실론-카프로락탐을 만드는 효소를 빠르게 찾는 데 성공했다. 이 단장은 “새로운 플라스틱을 생합성하거나 분해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를 발견하는 데에 유전자회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년을 산다는 것의 의미2019.01.22
- 결과 수명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근처의 SNP(단일염기다형성. 개인에 따라 DNA염기서열이 다른 지점)를 12개 찾았다. 이 가운데는 APOE 유전자처럼 수명과 연관성이 높다고 널리 알려진 유전자(신경정신질환 및 심혈관질환)도 있었고 MAGI3 유전자(자가면역질환)처럼 처음 밝혀진 것들도 ... ...
-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생체분자 나노구조체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1.17
- 항암 단백질을 결합시키면 제작이 완료된다. 김학성 교수는 “생체 적합한 소재인 DNA와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나노 구조체를 개발했다”며 “세포 내 단백질 치료제의 전달 뿐 아니라 동반 진단용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 ...
-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물질로 항암제 효율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19.01.15
- 성분이 다른 1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의 DNA 나노 구조체 16종을 만들었다. 이 DNA 나노 구조체들을 쥐에게 투입해 기존에 보고된 암 표적 물질보다 약 3배 이상의 전달률을 보이는 나노 구조체 3종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발굴된 구조체에 항암제를 탑재해 암 질환 쥐 모델에 주입하자 다른 ... ...
- ’DNA 아버지’ 제임스 왓슨, 연구소 명예직까지 박탈동아사이언스 l2019.01.14
- 엄청난 성과들을 이뤄냈던 곳이다. 왓슨은 프랜시스 크릭(1916~2004)과 함께 이곳에서 DNA가 이중나선 구조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발견해 1962년 노벨 생리학상을 받았다. 왓슨은 그 공로를 인정받아 1968년 CSHL의 소장에 취임한데 이어 1994년엔 대표, 2004년엔 총장을 맡았다. CSHL은 문제의 인터뷰 직후 ... ...
- 성가신 모기 ‘산아제한’으로 퇴치동아사이언스 l2019.01.11
- 다른 쪽의 변이 DNA를 복제해 붙인다. 결국 부모로부터 받은 DNA 두 개가 모두 불임 변이 DNA를 지니게 되고, 불임 자손은 급격히 증가한다. 안드레아 크리산티 영국 임피리얼칼리지런던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지난해 9월 이 방법으로 300마리의 모기를 7∼11대 만에 완전히 멸종시킬 수 있음을 증명해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