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13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임 유발 ‘자궁내막증’ 원인 알고보니 ‘후성유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후성유전학적 조절 기전에 주목했다. 후성유전학이란
DNA
염기서열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 기능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는 학문이다. 대표적인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전으로는 히스톤 단백질 말단에서 일어나는 아세틸화, 메틸화, 인산화 등이 있다. 연구팀은 ... ...
'
DNA
종이접기'로 누구나 쉽게 나노구조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수 있는 프로그램 'TALOS'도 공개했다. 전 연구원은 “누구나 쉽게 원하는 형상의
DNA
나노구조물을 그림을 그리는 것만으로 제작할 수 있다”며 “생체 내에서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약물전달과 바이오센서, 나노로봇 같은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20대 초반 연구자가 뜨는 건 밀러가 마지막이었던 같은데(같은 해 25세의 제임스 왓슨이
DNA
이중나선을 규명했다) 65년이나 지나 이런 일이 생겼으니 놀라울 뿐이다. 미국 MIT 물리학과의 대학원생 차오위안이 그 주인공으로, 연구 내용은 이미 언론에서 소개했으므로 생략한다(자세한 내용은 ... ...
태아 성별 결정하는 메커니즘 밝혔다
과학동아
l
2019.01.04
유전자 바깥의 증강인자(enhancer·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의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다. 고환이 정상적으로 발달하기 위해서는 Y염색체에 존재하는 ‘SRY(Sex-determining Region Y)’유전자가 필요한데, 이 유전자는 ‘SOX9’라고 불리는 조절 유전자에 의해 작동한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타미플루와 인류
2018.12.30
DNA
중합 효소에 붙어서 핵산 고리가 더 커지게 못 하게 하죠. 하지만
DNA
바이러스와 달리 RNA 바이러스는 크기가 작으므로 치료제 개발이 쉽지 않았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바로 RNA 바이러스입니다. 그래서 인플루엔자에 걸리면 도무지 효과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었습니다. 바이러스는 ... ...
2018년 별이 된 엔지니어와 화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8.12.28
3차원 원자 구조를 알아내는 원리는 오늘날 컴퓨터단층촬영(CT)에 영감을 줬다. 그는
DNA
구조 발견 때 위대한 업적을 내고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소외돼 세계인의 공분을 사고 있는 로절린드 프랭클린 박사와 함께 X선 결정학을 연구했던 과학자다. 프랭클린 박사의 실험과 클루그 박사의 이론 화학, ... ...
무인잠수정·바다표범 빙하 연구 합동작전…축구장 3배 전파망원경이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잠재적인 부작용을 평가할 예정이다. 국제사회는 책임감 있고 통제된 방법으로 인간의
DNA
편집이 이뤄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자는 목소리가 높다. ■ 오픈액세스 운동 ‘플랜 S’ 본격화 네이처는 “세계의 유료 학술지들이 유럽이 주도하는 오픈액세스 운동인 ‘플랜 S’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 해, 열 명의 이야기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위한 장기 환경정책을 마련한 여비인 말레이시아 에너지과학기술환경기후변화부 장관 △
DNA
공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로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연쇄살인범을 검거할 수 있도록 도운 바바라 래벤터 전 특허변호사 △유럽의 전면적인 오픈액세스(OA) 프로젝트인 ‘플랜S’를 기획한 로버트장 스미츠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한편으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DNA
검사를 한 적 없어도 자신의
DNA
가 사촌들의
DNA
를 통해 식별될 수 있음을 증명한 셈이다. 미국 샌디에이고야생동물원에서 생활하다 2014년 죽은 수컷 북부흰코뿔소 앙갈리푸의 모습. 이제 지구상에는 암컷 북부흰코뿔소 두마리만 남았다. -위키피디아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염색체가 풀리면 비로소 이중나선 형태의 유전물질인
DNA
가 모습을 드러낸다.
DNA
의 염기가 해독돼 우리 몸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을 ‘번역’이라 한다. 번역 과정을 시작하거나 멈추기 위해 작용하는 물질 중 하나가 단일가닥의 염기로 이뤄진 RNA 전사체다. 발달 과정에서 생기는 RNA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