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바닷속 심해어, “이산화탄소가 맛있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깊은 바다 속에는 그다지 귀엽지 않은 해양동물인 심해어가 살고 있다. 우중충한 빛깔에 큰 이빨을 드러낸 모습은 섬뜩해 보이기까지 하다. 그런데 최근, 이런 심해어가 해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지구의 기후변화를 늦추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영국 사우스햄프턴대 ... ...
- 독두꺼비 출현, 마다가스카르 생태에 재앙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독특한 생태로 유명한 아프리카 동쪽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에 독 뿜는 아시아두꺼비 출현으로 섬에 사는 토착종이 완전히 파괴될 수도 있는 재앙에 직면했다. 아시아두꺼비의 친척뻘인 수수두꺼비는 이미 호주 고유종을 멸종 위기로 몰아넣은 바 있다.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철회하기로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제3의 만능세포’로 불리며 전 세계 과학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았던 ‘STAP(자극야기 다능성 획득) 세포’가 결국 4개월 여 만에 한 편의 스캔들로 막을 내리게 될 전망이다.STAP 세포 논문의 제1저자인 오보카타 하루코일본 이화학연구소 연구주임이 STAP 세포의 제작법이 담긴 ‘네이처’ 논문을 ... ...
- “친부모가 3명이라고?” 영국, 세 부모 체외수정법 도입 추진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나는 엄마가 둘, 아빠가 한 명이야.”앞으로 2년 뒤에는 이런 말을 하는 사람도 생겨날지 모른다. 두 명의 엄마와 한 명의 아빠에게 유전정보를 물려 받는, 사실상 부모가 셋인 아기가 태어날 가능성이 열렸기 때문이다.영국의 보건부 산하 인간생식배아관리국(HFEA)은 6월, 두 명의 어머니로부터 각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빛을 이해하는 일이야말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물리학의 핵심 주제였다. 빛을 다루기 위해 거울을 사용했던 흔적은 고대 이집트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렌즈도 고대 로마에서 이미 쓰이고 있었다. 그리스 자연철학자 헤론은 빛이 두 점 사이의 최단거리로 진행한다고 제안했다. 비슷한 시기에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집이 경기도 수원에 있는 기자는 안산에 자주 간다. 단골 바지락칼국수집에 들렀다가 차를 조금 더 몰면 곧장 시화호다. 90년대만 해도 오염의 대명사처럼 불리던 곳이지만, 지금은 제법 쾌적하다. 바닷바람을 맞으며 방조제 위를 한참 달리면 주차장과 산책로가 딸린 큰 공원이 나오는데, 탁 트인 ...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최근 3년 사이, 국내 제습기 시장이 10배 이상 성장했다. 전력난으로 실내 온도 규제가 엄격해진 데다, 지구온난화로 덥고 습한 여름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습기를 한 대 들여 놓기만 하면 온 집안이 보송보송하고 서늘해질 것이라고 상상했다면......, 그건 오해다.제습기는 공기에서 습기를 ... ...
-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박사가 사랑한 수식’은 2004년 요미우리 소설상과 제1회 서점대상을 수상한 일본의 베스트셀러다. 그 뜨거운 인기에 2006년 영화로도 제작됐다. 주인공은 64세의 수학박사. 나이는 많지만, 그의 시간은 47세에 멈춰 있다. 불의의 교통사고로 기억이 80분 동안만 지속되기 때문이다. 80분이 지나면 뇌가 ... ...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 빗물 박사 빗물로 연구도 하고, 봉사도 하고Q 빗물 연구를 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A 입학할 때 성적에 맞춰서 지원한 학과가 토목공학과였어요. 그곳에서 상하수도를 전공하면서 무슨 물이든 처리할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 때 우리나라에 가뭄이 들어서 일부 지역에 물이 부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가져오는 방법은 없을까. 필자가 속해있던 스크립스연구소의 쉥 딩 연구팀(현재는 글래드스톤 연구소로 옮김)은 2011년 여기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계기는 우연한 관찰에서 비롯됐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들기 위해 야마나카 인자를 발현시켰는데 가끔씩 심장근육세포처럼 박동하는 세포가 관찰된 ... ...
이전1361136213631364136513661367136813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