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계산을 쉽고 편리하게! 소수점과 순환소수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무당벌레, 치타와 같은 생물은 물론 옷이나 그릇 등 다양한 물건에서 우리는 쉽게 점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점은 문장에서 한 문장이 끝났음을 알려 주는 마침표로도 사용되고, 수학에서는 위에 붙어 있는지 아래 붙어 있는지에 따라 소수점이나 순환소수로도 사용된다. 수학에서의 두 점, 소수 ... ...
- 역겨움을 역겹게 느끼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위염이 심해서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했던 적이 있다. 위장이 많이 망가져서 아무것도 들어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니 평소에는 그렇게도 좋던 음식 ‘냄새’가 구역질이 날 정도로 역겨워졌다. 음식을 보고 역겨움을 느끼게 되면 자연스럽게 위에 부담이 되는 음식들을 먹지 않게 될 테고 따라서 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지난 4월 22일 마이클 아티야(Michael Atiyah) 경의 85세 생일 기념 학회가 옥스퍼드에서 개최됐다. 아티야는 20세기 후반부터 영국 수학계의 대부 역할을 해오고 있는 수학자다. 이날 대수와 기하, 우주 사이의 오묘한 연결점에 대해 공상할 기회를 가졌다.아티야 생일 기념학회마이클 아티야는 미국의 ... ...
- 전설의 마술사 ‘소깅거 다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자, 지금부터 전설의 마술사가 펼치는 화려한 마술쇼를 시작하겠습니다!”썰렁홈즈가 다무러와 함께 마술쇼를 보러 왔다.마술쇼를 처음 본 다무러는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었다.“그럼, 세계적인 마술사 소깅거 씨를 소개합니다~!”미션1 미로가 정사각형 상자로 변신!“먼저 두 분만 앞으로 나와 ... ...
- Part 2 - Moon Story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위성이라고는 달이나 목성의 4대 위성 정도만 들어봤다면, 위성은 모름지기 행성 가까운 곳을 행성과 같은 방향으로 얌전히 도는 존재라고만 알고 있었다면, 이 기회에 태양계 위성의 다채로움에 새롭게 눈 떠 보자. 다양한 위성이 말도 안 되는 먼 거리에서 복잡한 궤도를 그리며 공전하고 있다는 ...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전화를 받고 그제서야 ‘내가 위성 전공자구나’하고 깨달았다니까요.”위성 전문가를 찾아 물어 물어 연락이 닿은 심채경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연구원은 처음에는 당황했다고 했다. 심 박사는 국내에서 보기 드물게 위성을 정통으로 공부한 전문가.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대기를 분석한 연구로 ... ...
- INTRO - 올라! 브라질 월드컵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의 스타는 단연 ‘점쟁이 문어’ 파울이었다. 파울은 독일이 치룬 7경기와 결승전 결과까지 완벽하게 맞혔다. 덕분에 우승국인 스페인에서 파울은 국민적 영웅이 됐고 중국에서는 ‘문어대제’라고 칭송받았다. 아쉽게도 파울은 2010년 10월 숨을 거뒀다. 이번 브라질월드컵을 앞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연구팀은 남아공월드컵 결승에 오른 스페인과 네덜란드, 16강에서 맞붙은 독일과 잉글랜드가 치렀던 월드컵 전 경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스페인이 패스를 한 횟수가 독일보다 40%가량, 네덜란드보다 2배가량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스페인은 미드필드에서 패스가 집중됐다.패널에 따라 ...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심장이 안 좋아 인공 심장박동기를 달고 있는 환자는 수 년에 한 번씩 재수술을 통해 배터리를 교환해야 한다. 이런 환자에게 희소식이 생겼다. 미국 스탠퍼드대 아다 푼 교수 연구팀은 사람 몸 속에서 무선으로 충전되는 심장박동기를 발명해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9일자에 발표 ... ...
- 6개 염기 가진 인공 생명체 탄생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지구에 없던 새로운 생명체가 탄생했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화학과 플로이드 롬스버그 박사팀은 DNA에 2개의 인공 염기를 지닌 새로운 인공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해 ‘네이처’ 5월 7일자에 발표했다.세포핵 안에는 유전 정보가 든 DNA가 있다. DNA 가닥에는 A(아데닌), T(티민), C(시토신), G(구아닌) ... ...
이전1365136613671368136913701371137213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