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나의 상상력이 인류의 미래를 좌우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끼칠 영향력을 설명하는 대회다.앞으로 연구할 주제를 미리 탐색한다!참가 연령도 기존 대학생에서 작년부터는 고등학생까지로 확대했다. 예선의 서면심사와 본선의 발표심사를 통해 제안한 연구주제가 참신하면서도 실현가능성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본다.노벨상탐구 발표경연대회는 말하고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비슷한 경우도 고려해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법으로 가사를 추천하도록 했다.딥비트는 기존에 있는 가사 중에 발음이 어울리는 가사를 추천하기 때문에 가사의 뜻은 어울리지 않을 수 있고, 영어와 핀란드어만 지원 한다는 단점이 있다. 아직 완전히 작사를 맡길 수는 없지만, 추천해 준 가사를 보고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으로 항암제 독성 평가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수, 알의 부화 속도, 생식세포의 형태 등을 통해 항암제의 독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기존 독성평가 방법으로는 실험용 쥐 100마리를 희생시켜야 하고 실험 기간도 한 달이 걸렸던 반면, 이번에는 포유동물의 희생 없이 일주일이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강 박사는 “예쁜꼬마선충은 비록 벌레지만 ... ...
- [Info]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 묘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를 통해 ‘개체보다 집단에 유리하다면 이타적 행동이 진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던 기존의 집단선택론을 무너뜨렸다.전 교수는 이타성 외에 다른 협력도 소개했다. 협력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사람을 일방적으로 돕는 이타성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상리적 협력이다. 상리적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그 동물이 무엇인지 정확히 구분해 내야 해요. 그래서 국립생물자원관 박태서 연구사는 기존에 잘못 구분된 종들을 다시 정리하고, 동시에 새로운 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새로 분류했답니다.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는 1840년 이탈리아 ... ...
- [과학뉴스] 꼬불꼬불한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공간에는 최소 7개의 단백질로 구성된 미코스(MICOS)라는 단백질 복합체가 존재한다. 기존 연구에서 연구팀은 Mic10과 Mic60이라는 미코스 단백질이 내막 구조 형성에 핵심 역할을 하며, 특히 Mic10 단백질이 내막의 곡선 모양을 따라 달라붙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러나 Mic60의 기능은 밝히지 못한 ... ...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남아메리카 등 세계 27개국에서 현장 연구를 하고 있다. 전염병을 역학 조사하고, 기존 백신을 훨씬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개량하거나 새로운 백신을 개발해 임상시험을 한다.또 새로 탄생한 백신을 전세계에 반드시 도입해야 하는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한편, 아시아와 아프리카, 남미 등 20여 개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주파수 영역보다 높은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함께 활용하는 방식이다. 캔으로 처리하던 기존 신호들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많은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새로운 장치들의 신호는 높은 주파수 영역대에 실어 보낸다. 캔은 높은 영역대의 주파수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보에 혼선이 생길 가능성은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정일효 부산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생선 알의 부화율, 성장률, 사망 비율, 기존 어획량, 수온의 변화, 플랑크톤과 작은 어류의 수 등을 고려해 어획량에 따라 생선 수가 어떻게 바뀌는지 설명하는 방정식을 만들었습니다. 방정식은 어획량을 지금보다 n% 더 줄였을 때 혹은 n% 더 늘렸을 때 1~2년 뒤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즉, 검출된 양자의 정보값을 확인해보면 도청 여부를 알 수 있다. 수학적으로 풀 수 있는 기존의 방식이 아니라,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암호이기 때문에 아무리 빠른 양자 컴퓨터가 나온다 해도 안전하다.양자 단일키 전송방식, 그리고 트러스트 노드현재는 양자컴퓨터가 개발되지 않아 양자정보를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