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다양한 암세포의 항원에 맞게 T세포 역시 다양한 클론으로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항암제가 암세포의 기전 하나를 공략하는 것과 달리, T세포는 다양한 암세포의 다양한 기전을 공격할 수 있다. 아직 정확한 이론으로 정립되지는 않았지만, 암세포 내 돌연변이의 개수가 많을수록 면역 ... ...
-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다리에 달린 고무줄을 늘였다가 한순간에 놓는 방식으로 높게 점프를 한답니다. 기존 로봇들이 1m도 채 뛰지 못했던데 비해 점프로치는 무려 1.62m나 뛰었어요!또한 점프로치의 몸통에 달린 커다란 날개는 몸이 뒤집혔을 때 몸을 바로 세우는 역할을 한답니다. 실제 벌레들처럼 말이지요. ... ...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결론을 얻었다.맥간 교수는 인간과 다른 포유동물의 후각신경구 크기와 신경세포 수를 기존 연구를 통해 비교했다. 그 결과 인간의 후각신경구가 절대적으로 크고, 안에 들어있는 신경세포 수도 1000만 개 내외로 다른 동물과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했다.그는 또 동물마다 특히 잘 인지하는 냄새가 ... ...
-
- [과학뉴스] 화학자가 새롭게 밝힌 눈송이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눈송이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 같은 기체의 화학변화에 촉매로 작용하는 등 기존에 몰랐던 독특한 반응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하고 현재 조사하는 중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9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305611 ...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때는 한 번 주유해서 875km를 달릴 수 있고 비행 모드에서는 최대 700km까지 날 수 있다. 기존 플라잉카의 단점을 보완하고 도로 주행과 비행을 모두 가능하게 만들었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우선 활주로 역할을 할 공간이 필요하다. 에어로모빌 플라잉카는 600m의 직선도로 혹은 풀밭이 있어야 ...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박막이 아닌, 신축성이 매우 높은 스펀지 구조로 만들어 효율을 크게 증가시켰다.또 기존 나노발전기의 내부가 2개 층으로 나뉜 것과 달리, 연구팀은 그 사이에 금속층(접지층)을 넣어 효율을 높였다. 구멍이 셀 수 없이 많이 뚫린 실리콘 스펀지에 압력을 가하면 전기를 만들 수 있는데, 여기에 ...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서브클론의 수는 자꾸 늘어난다. 만약 특정 서브클론에 맞춘 항암치료를 시작하면, 기존에 없던 서브클론이 생겨나 주류로 떠오른다. 암과 싸우는 전략이 과거보다 훨씬 복잡해져야하는 이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 ...
-
- [과학뉴스] 키를 조절하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실도 추가로 밝혀냈어요.이번 연구의 결과는 사람의 키에 유전적인 영향이 있다는 기존 과학자들의 주장을 뒷받침해요.연구를 진행한 기욤 레트로 교수는 “이번 연구로 키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와 그 기작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며, “성장장애로 고통 받는 어린이와 ...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주위의 공기를 스티로폼 보드 중심의 아랫부분으로 보내지요. 이렇게 모인 공기는 기존의 공기층을 밀어내며 드론이 위로 날아갈 수 있는 양력을 만들어내요. 만약 프로펠러의 방향을 무작위로 설치하면, 충분한 양력이 만들어지지 않아 드론이 잘 떠오르지 않아요.또한 드론을 조립할 때는 부품이 ... ...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 있었다. 특히 사람 필기체를 인식하는 정확도가 80% 정도로 나타났다. 또 전력소모도 기존 대비 100분의 1 이하로 크게 줄어들었다.김성호 교수는 “하드웨어 자체가 인간의 뇌처럼 동작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또 다른 길을 열었다”며 “스마트 로봇과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등 지능형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