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혜성 탐사 우주선 발진 준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그라프 박사는 덧붙였다.충돌은 지구로부터 약 1백32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므로
망원경
을 이용하면 지구에서도 관측이 가능하다. 물론 지구에 위협이 되지 않으며 충돌로 생긴 분화구는 혜성 핵의 전체 크기와 비교해 볼 때 매우 작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
별의 진화 단계가 한눈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진화 단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사진이 공개됐다. 허블우주
망원경
은 최근의 관측에서 항성 형성단계의 성간물질, 거성(巨星)들이 모인 성단, 초신성이 되기 전 마지막 단계에 있는 초거성이 함께 있는 획기적인 사진은 촬영했다.NGC 3603으로 이름붙은 이 대성운은 2만 광년 거리에 있고 우리은하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있어 겉보기 크기가 매우 작다. 중심별은 너무 어두워(15.4등성) 아마추어들이 사용하는
망원경
으로는 보기 어렵다.3. 독수리자리(Aquilla)● 대략위치 : 적경=19시 37분● 적위= +2.5도●자정남중일 : 7월 24일●크기 : 652도, 22위(1.582%)● 보이는 별 수 : 47개독수리자리는 여름 하늘의 은하수가 둘로 나눠지는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하나에 불과함을 알았다.그렇다면 태양이 우주의 중심일까. 알다시피 그렇지도 않다.
망원경
의 발달로 은하수의 별들이 분해되기 시작하면서 태양은 우리 은하계의 한 모퉁이에 있고 우리은하를 이루는 1천억개 별 중 가장 평범한 하나임을 알았다. 우리 태양과 태양계의 성분 또한 다른 별이나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1987년까지 탐색했지만 허사였다. 1977-84년 차알즈 고왈은 팔로마 천문대의 48인치 슈미트
망원경
으로 철저히 관측한 결과, 황도대 3도 이내에는 20등성 이상의 밝은 행성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행성 X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열번째 행성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 속에서 천문학자들은 ... ...
분홍색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분홍색 블랙홀을 발견해 화제다. 폴 프랜시스 박사와 연구팀은 멜버른의 학회에서
망원경
으로 촬영한 분홍색 블랙홀을 공개했다. 거대한 블랙홀은 별과 가스를 흡수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블랙홀을 퀘이사라고 하는데, 1960년대에 처음 발견됐다. 지금까지는 푸른색 퀘이사만이 ... ...
초여름 밤하늘은 구상성단 풍년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뱀꼬리 지역은 방패자리와 독수리자리 은하수에 이어져 있어 산개성단과 성운이 많다.
망원경
으로 볼 만한 것은 머리부분에 있는 구상성단 M5와 꼬리 부분에 있는 발광성운 M16이 있다 ... ...
춤추는 바람개비 별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지구로부터 4천8백광년이나 떨어져 있어 보통
망원경
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케크
망원경
을 통해 이뤄진 이번 관측으로 바람개비 모양 별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처음으로 얻을 수 있게 됐다. 버클리대학 우주과학연구소의 윌리엄에 따르면 이 별은 굴뚝처럼 연기와 먼지를 뿜어낸다고 한다.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17세기 초
망원경
이 발명되면서 안드로메다 은하는 여러 사람들에 의해 관찰됐다.
망원경
으로 이 은하를 처음 관찰했던 사람은 1612년 독일의 천문학자 지몬 마리우스라는 기록이 있다. 당시에는 은하에 대한 개념이 없었으므로 뿌연 구름 덩어리처럼 보이는 것은 성운(Nebula)이라 이름 붙였다. 혜성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생각도 파동(暈)에 의해 전달되고 퍼져나간다고 보았다.그는 서양 과학서적에서 읽은
망원경
, 온도계, 습도계 등의 원리도 자신의 철학에 원용했다. 그의 책에는 빛의 굴절현상에 대해 써놓은 부분이 있다. 이를 보면 그는 청년시절에 이미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원리를 알고 있었고, 매질에서의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