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상 최대
망원경
시동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수개의
망원경
이 간섭계를 이루게 되면 이 효과는 지름 1백m나 그 이상의 지름을 갖는
망원경
으로 관측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VLT의 분해능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 ...
① 수명 1백억년의 거대한 핵융합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8천도 정도지만, 바깥쪽으로 갈수록 감소돼 결국 광구의 상 단에서는 4천5백도에 이른다.
망원경
을 통해 광구를 자세히 관찰해 보면,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쌀알 모양의 미세 구조가 관측되는데, 쌀알조직은 광구 아래의 대류층이 만들어내는 모습이다. 쌀알조직은 뜨거운 물질이 대류층의 ... ...
⑤ 태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1610년 갈릴레이는 태양의 "흑점은 반드시 태양 표면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망원경
을 사용해 동틀 무렵 태양원반에 검은 점이 있음을 관측했다. 또한 검은 점이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관측함으로써 흑점이 태양표면의 일부이며 이들이 25일을 주기로 회전한다고 증명했다. 태양의 ... ...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하는 IRSI(InfraRed Space Interferometer)라는 계획을 수행하고 있다. 이렇게 여러 개의
망원경
들이 넓은 영역에 걸쳐 하나의 거대한 간섭계를 이루게 되면 그 퍼진 거리 만큼 해상도가 더욱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는 이미 전파천문학에서 응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이 드넓은 우주공간에 존재할지도 ...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해왕성은 24일에 태양, 지구와 일직선으로 놓여 충이 된다. 밝기는 7.8등급, 시직경 2.3초로
망원경
으로 보아도 보통 별과 구별하기 쉽지 않다. 사진은 지난 5월 31일 새벽에 찍은 염소자리 모습니다. 쌍안경으로 찾아보면 지난 2개월 사이에 해왕성이 약간 이동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8월 ... ...
② 소호위성이 밝혀낸 태양의 새모습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통해 태양을 관측하려는 시도들이 근래에 와서 수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전파
망원경
을 이용한 관측과 X선을 이용한 관측을 들 수 있다. 흑점 극소기에도 활동 왕성소호 위성은 그 동안 지상에서는 지구대기에 흡수돼 관측이 거의 되지 않고 있던 극자외선 영역 에 주안점을 두고 태양을 ... ...
밤하늘을 여는 창
망원경
만들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하자.확인하기 : 보고 싶은 대상을 찾아 초점을 맞추는 것이 익숙해졌으면 밤하늘로
망원경
을 돌려보도록 하자. 가장 쉬운 관찰 대상인 달을 맞추어 표면의 크레이터나 바다 등이 어떻게 보이는지 관찰해 본다 ... ...
블랙홀이 은하를 꿀꺽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NASA)은 5월 14일 블랙홀이 은하를 포식하는 모습을 처음 공개했다. 이것은 허블우주
망원경
(HST)이 1997년 1월에 찍은 것으로, 켄타우루스 A은하(NGC 5128) 중심부에 숨어 있는 엄청난 질량을 가진 블랙홀이 은하 충돌로 떨어져 나온 은하들을 잡아먹고 있었다. 은하가 서로 충돌하는 일이 지금은 일어나지 ... ...
2. 중력자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MIT의 조세프 테일러 2세와 대학원생인 러셀 헐스는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
을 이용해 중성자별 두개가 이중성을 이루고 있는 계를 최초로 발견했다.이 이중성계(binary system)는 질량 중심 주위를 회전하는데, 그 궤도의 크기가 약간씩 줄어들고 있었다. 그것은 이 계가 에너지를 잃은 ...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혜성 충돌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해안 도시들은 모두 침수된다. 가히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도 남을 대재앙이다.
망원경
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계속 새로운 소행성들의 접근이 발견되고 있다. 1989년 3월 23일에는 지름 약 1백m의 소행성(1989FC)이 지구로부터 80만km 지점을 통과했다. 미항공우주국(NASA)에서는 이 소행성이 초속 10km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