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서로에게 의지하기 때문에 더욱 친밀감을 느끼는 것이다. [심장을 두근거리게 하는
신호
전달물질 ‘페닐에틸아민’의 원료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은 고기 외에도 새우와 콩에 많이 들어 있다.]식사 메뉴로는 고기를 강력 추천한다. 고기에는 ‘사랑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 ... ...
“가려움증 일으키는 신경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려움증 유발물질과 이에 반응하여 신경
신호
를 발생시키는 감각신경세포를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가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한상규 교수와 공동으로 가려움증 유발 감각신경세포를 새롭게 발견했으며, 이미퀴모드(Imiquimod)라는 화합물과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지베렐린을 합성하거나 지베렐린이
신호
를 전달하는 경로에서 변이가 생긴 것이지만
신호
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 수 없었다”며 “지베렐린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찾아내면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부위를 이용한다. 별교세포(➋)는 이 시냅스를 만들고 더 단단하게 붙인다. 또 뉴런의
신호
를 강화한다.] [뇌는 뇌혈관장벽으로 둘러쌓여 있어 다른 물질이 뇌 속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면역세포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뇌에서 활동하도록 분화한 면역세포가 바로 미세교세포(갈색)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렐먼 교수의 1999년 논문은 인간 미생물군집 연구가 새로운 시대로 들어가고 있음을 알린
신호
탄이었다.[Our data suggest that a signifi cant proportion of the resident human bacteria fl ora remain poorly characterized, even within this wel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공부하다가 반도체 압력 센서에 대한 논문을 봤다. 그동안 반도체는 전자를 이용해
신호
를 스위칭하거나 증폭하는 전자 소자로만 쓰는 줄 알았다. 반도체를 압력, 온도, 유량, 가속도, 밝기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로도 사용한다는 얘기를 듣고 놀랐다. 더욱이 앞으로의 세상은 아주 작은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공급하는 스마트 그리드에 쓸 수 있고, 자동차에 기본으로 들어 있어 교통량에 따라
신호
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데도 쓸 수도 있다. 편리한 데서 그치지 않고 생활의 효율을 높이는 사회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4세대가 아직 상용화되지도 않은 지금 벌써 스마트 라이프를 추구하는 5세대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노먼 리는 말했다.결론은 간단하다. 이성에게 자신의 마음을 증명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신호
’를 보내라. 그리고 상대방이 생각하는 연인의 조건에서 가장 필수요소를 찾아 그것을 공략할 전략을 세워라. 상대가 매력적이라면 필수요소 외에 다른 요소도 최대한 갖춰야 한다.주의할 점은 사랑이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서로 같이 진동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 현상은 입력하는
신호
의 진동주기와 이
신호
를 받는 물체 고유의 진동주기가 일치하면 발생합니다. 이때 공진하는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해 사용하는 것이 무선전력전송이죠.김: 무전전력전송 방식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박: 자기 공진 방식, 전자기 유도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라진 뒤 안심하는 마음의 표시다. 그리고 사람은 이 웃음을 안전한 상태를 알리는 ‘
신호
’로 사용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며 남의 행동을 따라하는 거울뉴런의 작용으로 웃음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도록 진화했다.“웃으면 건강해진다는 말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웃음은 NK세포와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