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서로에게 의지하기 때문에 더욱 친밀감을 느끼는 것이다. [심장을 두근거리게 하는
신호
전달물질 ‘페닐에틸아민’의 원료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은 고기 외에도 새우와 콩에 많이 들어 있다.]식사 메뉴로는 고기를 강력 추천한다. 고기에는 ‘사랑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라진 뒤 안심하는 마음의 표시다. 그리고 사람은 이 웃음을 안전한 상태를 알리는 ‘
신호
’로 사용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며 남의 행동을 따라하는 거울뉴런의 작용으로 웃음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도록 진화했다.“웃으면 건강해진다는 말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웃음은 NK세포와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렐먼 교수의 1999년 논문은 인간 미생물군집 연구가 새로운 시대로 들어가고 있음을 알린
신호
탄이었다.[Our data suggest that a signifi cant proportion of the resident human bacteria fl ora remain poorly characterized, even within this wel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2011학년도 과학고 이색 합격자로 한 차례 이름을 날린 이성계 군이다. 건널목에 서서
신호
체계에 담긴 수학 원리를 골똘히 생각하고 있었다고 했다. 빨간 불과 초록 불의 시간 간격을 수학으로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말이다. 역시 범상치 않다.곧 인천과학고 학생이 되는 그의 특별한 이력은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조직이 없어져 퇴행성 관절염이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퇴행성 관절염은 세포
신호
전달체계에 이상이 생겼을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연구팀은 우선 컴퓨터를 이용해 사람의 전체 유전자에서 연골 세포의 사멸과 관련된 유전자를 모두 찾았다.수천 개의 유전자 중 후보를 골라 쥐, 토끼 등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네 가지로 나누고 있다. 가장 쉽고 단순한 ‘버스형’은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들어온
신호
를 여러 대의 컴퓨터와 서버가 차례로 나눠 쓰는 구조다. 고속도로 주위에 차례로 나들목이 있어서 차량이 들어오고 나가는 모습과 비슷하다. 구성이 간단하고 작은 네트워크에 유용하며 관리가 쉽다는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무섭다”고 설명했다.스텔스기는 페인트칠해서 만든다?스텔스 기술의 핵심은 ‘전자적
신호
감소 기술’이다. 레이더에서 발사된 전파가 비행기의 몸체에 부딪친 후 되돌아가는 비율을 최소로 줄이는 것이다. 이 비율을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이라고 부르는데, 배나 비행기 등 움직이는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문이다. 혼자 있을 때보다 여럿이 무리를 이룰 때 적에 대한 정보나 환경에 대한
신호
를 훨씬 더 많이 얻을 수 있다. ‘영리한 무리’라는 뜻의 ‘스마트 스웜’을 쓴 피터 밀러 박사는 “동물이 큰 집단을 이루면 개체가 저지르는 사소한 실수는 평균화된다”며 “집단 전체가 나쁜 정보에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일산화탄소(CO)나 유독가스의 대명사인 황화수소(H2S)도 인체 내에 미량으로 존재하면서
신호
전달물질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몸에 좋은 물질과 해로운 물질이 이분법처럼 나눠져 있는게 아니라 때와 장소에 따라 전혀 다른 작용을 할 수 있다는 발견은 생명체가 신비한 존재임을 또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느끼는 힘 센서나 촉각 센서도 붙여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면 센서에서 들어오는
신호
를 손가락의 움직임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 패턴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마루Z의 손을 만든 오용환 KIST 책임연구원은 “로봇팔 하나를 만드는 것보다 손가락 하나를 제대로 만드는 게 더 어렵다”면서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