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답답하면 너도 큰 뇌를 가져보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상자를 잘 열었지만 너구리과 동물인 라쿤과 미어캣은 상자를 열지 못했다. 하이에나 종도 15%밖에 성공하지 못했다. 벤슨-앰럼 교수는 논문에서 “곰처럼 몸집에 비해 뇌 크기가 큰 동물들이 많이 성공했다”며 “뇌 크기가 동물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 ...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살아요. 주로 열대 우림 지역에서 많이 살지만 늪지대나 강가, 다른 숲 지역에서도 종종 발견되곤 하지요.몸집은 수컷이 46cm, 암컷은 38cm정도로 수컷이 좀 더 큰 편이에요. 상당히 민첩하고 활동적인데, 주로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에 활동하지요. 다른 원숭이들이 먹이를 훔쳐가는 것을 막기 위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그런데 위에 소개한 개구리들을 포함해 대부분의 양서류들이 멸종위기종이나 보호종으로 내몰리고 있어요. 양서류가 살려면 물과 육지 환경이 모두 필요한데, 도시화로 인해 양서류의 서식지가 크게 줄어들고 있거든요.개구리는 인간에게 해로운 진드기나 모기 등을 작아먹을 뿐만 아니라, ...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렇게 해서, 작년 말까지 151구의 유해가 가족 품을 찾았다.“모든 가능성을 검토해 최종 결과가 나오면 상사에게 보고하고 유족에게 돌려드려요. 그러면 유족 분들이 이런 날이 올 줄 몰랐다며 손을 잡고 고마워 하세요. 인수한 유해는 부모님 곁에 고이 묻습니다.”진 박사를 만났을 때는 마침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비교해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근육 속의 단백질량은 넓적다리에서만 약 10%가 줄었고, 종아리나 사두근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즉, 곰은 겨울잠을 자는 동안 중요한 근육은 지켜내면서 다른 덜 중요한 조직을 태워 에너지를 얻는다는 얘기다. 그래야만 겨울잠에서 깨어났을 때 충분히 강한 근력을 내서 ... ...
- [가상인터뷰]박쥐 VS 에볼라,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감염자가 2만 명이 넘고, 이 중 사망자도 만 명이 넘어요. WHO는 2015년 12월 29일에 에볼라 종식 선언을 했지만, 90일 간의 집중 감시 기간이 주어져 아직까지 완전히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에요. 카르틱 찬드란 교수님은 이번 연구결과를 확장시켜 다른 포유류에도 적용시키려고 노력 중이랍니다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응용할 부분이 두 가지가 생길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먼저 시체에 모인 생물의 종류와 양을 보고 입수시간을 계산할 수있다. 또 바다에 잠겨있는 시체의 현재상태를 예측해 시체를 인양하거나 수사할 때 참고할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의 셜록에 도전하다 수중과학수사PART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6×6 대열로 모종을 심었다. 삽으로 갯벌을 살짝 들춰 모종을 꽂는 식이었다.이날 심은 모종은 약 1년이 지나면 듀공이 먹을 수 있을 만큼 자란다. 또 2년이 지나면 해초끼리 뿌리가 엉키면서 단단해지고 옆으로 점점 퍼지면서 숲을 이루게 된다.김민상 탐사대원은 “우리가 직접 심은 해초 숲에서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참조 : (스콧 샘슨, 2011, 뿌리와 이파리), (마이클 J. 벤턴, 2007, 뿌리와 이파리), (도널드 R. 프로세로, 2013, 뿌리와 이파리), (두걸 딕슨, 2014, 함께읽는책)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종뿐만 아니라 사람을 비롯해 다른 종의 동물을 대하는 방법을 모두 배울 수 있는 특별한 종이다. 대부분의 가축은 이런 융통성이 없다. 이를 ‘다중 사회화’ 능력이라고 한다.고양이는 주인과 소통하기 위해 울음소리를 바꾸기도 한다(j.cub.2009.05.033). 영국 서섹스대 연구팀은 고양이가 주인 앞에서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