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주 전체에 있는 물질 중 우리가 알고 있는 건 겨우 5%다. 빛은 우리가 매일 보기 때문에 아주 많을 것 같지만, 우주 전체로 봤을 때 1%에도 한참 못 미치는 미미한 양밖에 없다. 중성미자★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알고 있는 5%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지구나 태양 같은 천체를 이루는 바리온 물 ... ...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실질적으로 동시에 생성된 블록 중 하나에 연결 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면 블록 6개가 동시에 대립하게 될 확률은 0.1% 이하다. 하지만 이런 합의 과정에 참여하는 것과 신뢰성이 확보된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것은 전혀 다른 일이다. 공개형 블록체인의 사용자는 많은 노동과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능력을 요구한다. 반면 세트 단답형은 주어진 상황을 직관적으로 예상하고 효율적인 계산을 통해 검증하고 확인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학교별로 유형을 살펴보면, 경기과학고와 서울과학고는 모든 문제를 세트형으로 출제하고 단답형과 서술형을 적절히 묶었다. 대구과학고와 광주과학고는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때문이지요. 1초에 1만 번의 진동을 만들어내는 초정밀 레이저를 쏴서 빙하의 높낮이를 계산할 수 있어요. 각종 레이더 장비로 빙하 표면부터 바닥까지 관측할 수도 있지요. 또 ●중력계와 ●자력계를 사용해 레이더로는 볼 수 없는 물에 떠다니는 얼음까지 파악할 수 있어요. 항공기가 한번 뜨면 8~1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톤에 부딪혀 되돌아온 신호를 받아서 거리를 측정하고, 스톤이 지나가는 동안 속도를 계산한다. 여기에 선수가 스톤의 속도와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글라스도 더했다. 스톤을 던지는 선수는 한쪽 손으로 스톤을 잡고, 다른 손은 브러시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초 은행이 처음 생기면서 사람들은 이자계산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어요. 이자를 계산하려면 1차, 2차는 물론 5차방정식의 해까지 구해야 했지요. 그런데 4차방정식까지는 해를 구하는 ‘근의 공식’을 찾았지만 5차방정식은 도저히 근의 공식을 구할 수 없었어요. 이때 프랑스의 천재 수학자 ... ...
- 아끼면서 아름다운 한복, 수학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자원을 낭비하지 않으려던 조상들의 지혜가 놀랍지 않나요? 이런 아이디어도 치밀한 계산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거예요. 이렇게 자원을 아끼고 재활용하는 ‘노 웨이스트’ 정신은 자원이 부족한 요즘 우리가 배워야 할 덕목일 거예요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다. 전 이사는 “카메라로 인식한 기문에 좌표를 부여한 뒤 두 기문 사이의 중심좌표를 계산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수차례 훈련하면서 얻은 데이터로 태권브이의 자율주행 기능을 최적화했다. 사람이 조종해서 기문을 통과할 때의 영상과 속도, 가속도 등의 ...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모양으로 쌓으면 된다고 추측한 지 무려 378년이 지난 1998년에야 엄청난 양의 컴퓨터 계산을 통해 문제가 풀렸으니까요. 2015년까지 4차원 이상의 문제에 관해선 해결된 게 전혀 없었습니다. 다만 2003년 헨리 콘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 박사와 노암 엘키스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이 문제를 특별한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근육의 힘으로 따지면(140kg의 196분의 1) 다운사이징 된 사람은 약 714g을 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자신의 몸무게(25.5g)보다 무려 28배 무거운 무게를 들어올린다는 의미다. 몸무게에 비해 지나치게 힘이 강해진다. 또 사람의 크기가 이렇게 줄어들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도 어렵다. 세포 대사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