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현실 공간을 가상현실 화면에 그대로 반영한답니다. 또 적외선을 쏘아 반사되는 시간을 계산해 우리 주변에 어떤 물체가 있고, 어떻게 생겼는지 파악하지요.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 ➋홀로렌즈를 써라!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혼합현실 기기도 있어. 바로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시간씩 차이가 생겨요. 이때 그리니치 천문대의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태양의 움직임을 계산한 시각을 ‘세계시’라고 한답니다 ...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그래야 두 정보를 비교해 더욱 정확하게 태양에너지가 지구 대기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할 수 있거든요. NASA의 린 챔버 박사는 “이번 일식 동안 1만 500명 이상의 시민들이 데이터를 올려 줬다”고 전했어요. 이어 “아직 이번 데이터를 분석 중이지만, 보통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기온이 2℃ 정도 ... ...
- [과학뉴스] 태양의 중심은 표면보다 더 빨리 회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파동에 영향을 주지요. 표면의 파동이 변하는 정도를 분석하면 중심핵의 회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 거예요. 연구팀이 태양 표면에서 나오는 파동을 관찰한 결과, 중심핵의 회전속도가 표면보다 4배 정도 빨랐어요. 연구를 이끈 로저 우리츠 교수는 “회전 속도는 천체의 형성 과정을 알아낼 수 ...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각 층의 지름, 한 층에 놓인 개미 수를 바탕으로 붉은 불개미 한 마리가 받는 무게를 계산했어요. 그 결과, 모든 붉은 불개미에게 똑같은 무게가 실린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탑에서의 위치와 상관없이 붉은 불개미 한 마리는 세 마리의 무게만 견디면 됐지요.연구에 참여한 크레이그 토베이 교수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9초, 소리의 속력인 340m/s를 곱하면 우리 위치에서 천둥이 친 장소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어.“그렇다면…, 3060m 떨어진 곳에서 천둥이 쳤어!”오로라의 말에 파부르가 고개를 끄덕이다가 말했어요.“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우리 중에 비밀과학집단이 있는 것 같아. 잠깐 정전이 된 사이에 누가 ... ...
- 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높이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재미가 덜 하지요.따라서 워터슬라이드 설계자들은 복잡한 계산과 수많은 실험을 통해 물의 양을 정해요. 보통 깔때기 안으로 흘려보내는 물의 양은 1초당 450L 정도랍니다. # “야호~, 시원~하다!”오늘 물놀이는 정말 즐거웠어. 다 안전 수칙을 지켰기 때문이지. ... ...
- [과학뉴스] 너무 많은 양전자, 펄서 말고 어디 출신?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바탕으로 펄서가 만들어낸 양전자가 우주를 통해 얼마나 멀리 확산될 수 있는지 역으로 계산했다. 그 결과, 펄서에서 생성된 양전자가 지구까지 도달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지구에 충돌하는 엄청난 양의 양전자가 펄서 이외에 다른 곳에서도 나와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알파고 프로그램을 복제해서 하나는 검은 돌의 수를 계산하고, 다른 하나는 흰 돌의 수를 계산하면 두 프로그램으로 바둑 게임을 할 수 있다. 그 승패에 따라 이긴 프로그램의 함수에는 보상을 주고, 진 프로그램의 함수에는 벌을 주는 방식으로 함수를 개선시켰다. 물론 보상과 벌은 은유적인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결구조를 활용해 신경망에서 신경 신호가 어떻게 전파되는지 양자역학적으로 계산했다. 2년 이상 연구에 매달린 김 연구원은 “생물학적인 현상을 물리학적인 문제로 정의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문제를 제대로 정의해야 올바른 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이 과정이 핵심이다. 김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