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보기
model
모범
모형
견본
귀감
전형
d라이브러리
"
모델
"(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정신상태를 알게 된다. 과학자와 연구자들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모델
과도 같은 셈이다.NIMH 소속 한국인 과학자 김동규 박사는 “NIH에서는 이같은 집단진단 프로그램 외에도 일반인의 참여하는 연구 프로그램이 상당수 있다”고 말한다.미국 여성 사망률의 9%를 차지하는 심장계 ... ...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크리스마스 과학콘서트 | 177년 전통의 영국 왕립연구소 ‘크리스마스 과학강연’을
모델
로 한 극장식 강연과 공연이다. 2003년 처음 열렸고 2004년에는 김 교수를 비롯해 최재천 서울대 교수 등 4명의 과학자가 강연자로 나서 청소년들에게 흥미로운 과학의 세계를 소개했다 ... ...
로터리 엔진 vs 피스톤 엔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들리는 소음이 들리지 않았고, 가속도 잘 됐다.1967년 마침내 자동차의 신기원을 마련할
모델
NSU Ro 80이 탄생했다. Ro 80은 로터리 엔진을 장착했다는 것뿐만 아니라 디자인도 당시 자동차와 확연히 달라 유명인들이 앞 다퉈 구입하겠다고 나설 정도로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피스톤 엔진은 더 이상 ... ...
성냥개비 기하학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싶다. 성냥개비는 똑같은 길이의 선분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를 묻는 수학 문제의
모델
로 아주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번 달은 성냥개비 퍼즐 가운데 가장 유명한 문제를 골라봤다.성냥개비 6개를 이용해 정삼각형 4개를 만들어라. 성냥개비를 서로 겹치거나 걸쳐서는 안 되며, 부러뜨려서도 안 된다 ... ...
한국형 휴머노이드 로봇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발표했다.‘휴보’(HUBO)로 명명된 이 로봇은 2003년 개발된 KHR-2의 성능을 업그레이드 한
모델
이다(KHR-2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2004년 10월호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참고). 휴보는 몸 전체의 기계적 강성이 증가돼 좀더 안정된 보행이 가능하고 상체 관절의 구동방식도 개선돼 동작이 더욱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달한다. 갈라파고스 관광 프로그램은 과학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성공적인 과학대중화의
모델
이다. 최근에는 한 관광회사가 갈라파고스 환경보존 펀드를 조성해 주민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지원한다고 해서 연구소와 협의 중이다.키 박사는 “관광객들이 오가는 플라자섬도 20년 전과 비교해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과연 능력 부족으로 양자론을 거부했을까.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의 성공
모델
이 너무나도 좋았기 때문에 이와 논리적 모순이 있는 양자론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다.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시공간은 매우 부드럽고 평온한 공간이다. 상대성이론은 일상 세계와 우주 등 거시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중심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연구팀은 이미 지난 1997년 바코드를 이용한 초기
모델
냉장고를 선보였다. 이 연구팀은 불과 몇 바이트만을 저장할 수 있는 바코드를 전자태그로 대체하는 방안을 연구중이다.일본도 이와 비슷한 냉장고를 개발했다. 유비쿼터스 연구조합인 TRON은 2003년 12월 ... ...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뉴턴은 1642년 크리스마스 아침에 태어났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과학자로 불리는 그는 26세에 지금은 스티븐 호킹이 차지하고 있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루카스 석좌교수가 됐다. 46세 ... 수 없는 상황을 만든 것이었다. 뉴턴의 이런 실험 방식은 이후 수많은 과학 실험의
모델
이 됐다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것처럼 그것이 ‘엄청난 업적’임을 알게 됐다.하지만 아인슈타인은 “나는 아직 실재의
모델
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말하자면 사물이 발생할 개연성만이 아니라 사물 그 자체를 표현하는 그런 이론은 가능하다”고 말하곤 했다. 그는 보어의 초기업적을 크게 칭찬했지만, 양자역학은 원자적 현상을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