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
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두껍게 만들면 전자가 투과하지 못해 관찰이 불가능하다. 결국 광학현미경으로 보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보려면 얇게 가공해 또 다른 시료를 만들어야 한다. 두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청소기에는 크게 두 가지 센서가 장착됐다. 사람의 눈처럼
물체
를 직접 보며 장애물을 피하고 길을 기억하는 ‘카메라 센서’와 위치를 좌표로 바꿔 길을 인지하는 ‘자이로 센서’다. 자이로 센서가 장착되면서 카메라 센서가 작동하지 못하는 가구 밑의 어두운 구역도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빛을 내는 형광등은 그렇지 않다. 이렇게 열복사로 가시광선을 낼 수 없는 온도가 낮은
물체
에서 빛이 나오는 현상을 발광(luminescence)이라고 한다. 발광이란 물질이 다양한 자극에 의해 에너지를 받아 들뜨고, 받은 에너지로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현상을 말한다. 물질을 들뜨게 하는 자극에는 ... ...
주머니 ‘속’ 휴대전화가 당신을 찍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려해 약 10cm 이내 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중이다. 이 기술은 특히 벽 속의
물체
감지나 위조지폐 감지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의료, 방송·통신 분야 등 널리 쓰이는 것과 달리 테라헤르츠파는 최근 주목받기 시작했다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키키’라는
물체
(?)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생긴 것은 모른다. 각각 어떤 모양일지 자유롭게 상상해 보자. 잘 떠오르지 않을테니 객관식으로 문제를 바꿔보겠다. 펜으로 원을 그리되 아메바처럼 흐물흐물한 모양이 되게 하나를 그렸다. 다른 하나는 깨진 유리처럼 삐쭉삐쭉한 모양이다. 어느 쪽이 ... ...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방향이 자주 바뀔수록 제가 춤을 추는 횟수가 느는 걸 관찰했어요. 또 춤을 출 때 주변의
물체
를 살짝 옮기거나 빛의 위치를 바꾸면 제가 방향을 많이 바꾼다는 사실도 알아냈죠. 연구팀은 이 실험으로 제가 춤을 추면서 주변환경과 태양의 위치를 순간적으로 기억해 진행 방향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듯 보였다.이렇게 커다란 배는 평소에 어떻게 중심을 유지하는 걸까? 지구상에 있는 모든
물체
는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인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그럼에도 배가 물 위에 뜨는 이유는 배를 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인 부력 덕분이다. 지구에서 배를 잡아당기는 중력과, 물 위로 띄우는 부력의 크기가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다른
물체
를 공전하는 어떤
물체
의 속도를 궤도의 긴 반지름과 초점으로부터
물체
까지의 거리로 나타내는 방정식이다.3. 외계인과의 대화는 수학으로!요원 B가 잘난 척을 했군. 그 친구 능력은 있지만 아직 내 경험을 따라오긴 힘들지. 특히 언어 같은 건 오랜 시간 다져놓을 필요가 있는 능력이라구.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컵받침은 2차원이고 조끼는 3차원이다. 즉 뜨개질은 1차원의 재료를 2차원, 3차원의
물체
로 만드는 과정인 셈이다.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이 나노세계에서 뜨개질을 하기 시작했다. 나노 뜨개질실의 재료는 바로 DNA인데 우리가 익숙한 이중나선(두 가닥)이 아니라 단일가닥이다. 뜨개질실의 지름이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거쳐 알파라비(Al-Farabi, ca. 870~950)에서 진전이 생깁니다. 그는 “소리를 전달하는 것은
물체
사이의 충격에 의해 공기가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전달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도 음의 높낮이가 생기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합니다. 음의 높낮이는 공기층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아니라 단위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