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체"(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머니 ‘속’ 휴대전화가 당신을 찍는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우려해 약 10cm 이내 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중이다. 이 기술은 특히 벽 속의 물체 감지나 위조지폐 감지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의료, 방송·통신 분야 등 널리 쓰이는 것과 달리 테라헤르츠파는 최근 주목받기 시작했다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맞고 돌아오는 것을 계산해 물체의 모양이나 위치, 거리 등을 탐지한다. 패시브 소나는 물체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 분석한다. 현재 최첨단 패시브 소나 기술은 잠수함의 추진체인 프로펠러 소리만 듣고도 어떤 기종의 잠수함인지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그렇다면 메타물질을 이용한 스텔스 ... ...
- 바이오 전자 현미경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두껍게 만들면 전자가 투과하지 못해 관찰이 불가능하다. 결국 광학현미경으로 보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보려면 얇게 가공해 또 다른 시료를 만들어야 한다. 두 ... ...
- 날아라, 모스 글라이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했다.연이 날아오를 수 있는 것은 바로 ‘양력’ 때문이다. 양력은 공기같은 유체 안에서 물체가 수직방향으로 받는 힘이다. 연은 위쪽이 둥글기 때문에 아래쪽에 비해 공기가 더 빨리 지나간다. 그 결과 속력에 따른 기압차가 생기면서 연을 위로 밀어 올리는 양력이 생긴다.양력의 원리를 비행기에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개발한 로봇 ‘마루3’은 사람을 따라서 동작하고, 일본의 ‘텔레사르5’ 로봇은 어떤 물체를 잡았을 때 ‘차갑다’, ‘뜨겁다’는 감각까지 사람이 느낄 수 있게 해. 하지만 로봇이 느낀 감각을 사람이 똑같이 느끼게 할 순 없어. 아직 사람의 신경체계를 다 이해하진 못했거든.실현된다면? 실제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다른 물체를 공전하는 어떤 물체의 속도를 궤도의 긴 반지름과 초점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로 나타내는 방정식이다.3. 외계인과의 대화는 수학으로!요원 B가 잘난 척을 했군. 그 친구 능력은 있지만 아직 내 경험을 따라오긴 힘들지. 특히 언어 같은 건 오랜 시간 다져놓을 필요가 있는 능력이라구. ...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거쳐 알파라비(Al-Farabi, ca. 870~950)에서 진전이 생깁니다. 그는 “소리를 전달하는 것은 물체 사이의 충격에 의해 공기가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전달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도 음의 높낮이가 생기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합니다. 음의 높낮이는 공기층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아니라 단위 ... ...
-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방향이 자주 바뀔수록 제가 춤을 추는 횟수가 느는 걸 관찰했어요. 또 춤을 출 때 주변의 물체를 살짝 옮기거나 빛의 위치를 바꾸면 제가 방향을 많이 바꾼다는 사실도 알아냈죠. 연구팀은 이 실험으로 제가 춤을 추면서 주변환경과 태양의 위치를 순간적으로 기억해 진행 방향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듯 보였다.이렇게 커다란 배는 평소에 어떻게 중심을 유지하는 걸까? 지구상에 있는 모든 물체는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인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그럼에도 배가 물 위에 뜨는 이유는 배를 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인 부력 덕분이다. 지구에서 배를 잡아당기는 중력과, 물 위로 띄우는 부력의 크기가 ...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컵받침은 2차원이고 조끼는 3차원이다. 즉 뜨개질은 1차원의 재료를 2차원, 3차원의 물체로 만드는 과정인 셈이다.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이 나노세계에서 뜨개질을 하기 시작했다. 나노 뜨개질실의 재료는 바로 DNA인데 우리가 익숙한 이중나선(두 가닥)이 아니라 단일가닥이다. 뜨개질실의 지름이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