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
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두껍게 만들면 전자가 투과하지 못해 관찰이 불가능하다. 결국 광학현미경으로 보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보려면 얇게 가공해 또 다른 시료를 만들어야 한다. 두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청소기에는 크게 두 가지 센서가 장착됐다. 사람의 눈처럼
물체
를 직접 보며 장애물을 피하고 길을 기억하는 ‘카메라 센서’와 위치를 좌표로 바꿔 길을 인지하는 ‘자이로 센서’다. 자이로 센서가 장착되면서 카메라 센서가 작동하지 못하는 가구 밑의 어두운 구역도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키키’라는
물체
(?)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생긴 것은 모른다. 각각 어떤 모양일지 자유롭게 상상해 보자. 잘 떠오르지 않을테니 객관식으로 문제를 바꿔보겠다. 펜으로 원을 그리되 아메바처럼 흐물흐물한 모양이 되게 하나를 그렸다. 다른 하나는 깨진 유리처럼 삐쭉삐쭉한 모양이다. 어느 쪽이 ... ...
날아라, 모스 글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했다.연이 날아오를 수 있는 것은 바로 ‘양력’ 때문이다. 양력은 공기같은 유체 안에서
물체
가 수직방향으로 받는 힘이다. 연은 위쪽이 둥글기 때문에 아래쪽에 비해 공기가 더 빨리 지나간다. 그 결과 속력에 따른 기압차가 생기면서 연을 위로 밀어 올리는 양력이 생긴다.양력의 원리를 비행기에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개발한 로봇 ‘마루3’은 사람을 따라서 동작하고, 일본의 ‘텔레사르5’ 로봇은 어떤
물체
를 잡았을 때 ‘차갑다’, ‘뜨겁다’는 감각까지 사람이 느낄 수 있게 해. 하지만 로봇이 느낀 감각을 사람이 똑같이 느끼게 할 순 없어. 아직 사람의 신경체계를 다 이해하진 못했거든.실현된다면? 실제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컵받침은 2차원이고 조끼는 3차원이다. 즉 뜨개질은 1차원의 재료를 2차원, 3차원의
물체
로 만드는 과정인 셈이다.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이 나노세계에서 뜨개질을 하기 시작했다. 나노 뜨개질실의 재료는 바로 DNA인데 우리가 익숙한 이중나선(두 가닥)이 아니라 단일가닥이다. 뜨개질실의 지름이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다른
물체
를 공전하는 어떤
물체
의 속도를 궤도의 긴 반지름과 초점으로부터
물체
까지의 거리로 나타내는 방정식이다.3. 외계인과의 대화는 수학으로!요원 B가 잘난 척을 했군. 그 친구 능력은 있지만 아직 내 경험을 따라오긴 힘들지. 특히 언어 같은 건 오랜 시간 다져놓을 필요가 있는 능력이라구. ... ...
왕눈이 대왕오징어 “눈이 커야 살아남아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눈이 커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닐슨은 “물의 광학적 특성 때문에
물체
와의 거리를 인식하기가 매우 힘들다”며 “눈이 크다고 시력이 더 좋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연구팀은 컴퓨터 모델로 수심에 따라 눈의 크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 어둡고 깊은 바다에서 다가오는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연구자들은 특히 섬세한 질감을 느낄 때 지문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즉 손끝이
물체
의 표면을 지나갈 때 진피에 있는 신경의 말단인 파시니 소체가 진동의 형태로 감지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문이 신호증폭기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지문 형성 과정 아직 잘 몰라지난 2007년 스위스의 한 여성은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거쳐 알파라비(Al-Farabi, ca. 870~950)에서 진전이 생깁니다. 그는 “소리를 전달하는 것은
물체
사이의 충격에 의해 공기가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전달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도 음의 높낮이가 생기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합니다. 음의 높낮이는 공기층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아니라 단위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