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꺼지는 간격이 더 짧다. 즉, 한 파형이 채 완성되지 못한 상태로 조명이 켜져서 바로 전에 본 모습보다 물방울이 위쪽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때 빠른 속도로 조명이 깜빡이기 때문에 연속된 장면처럼 느껴져서 물이 위로 올라가는 것처럼 보인다 ... ...
-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수 있게 돕는답니다. 연구팀이 로봇의 발에 끈끈한 물질을 바르고 같은 실험을 반복해 본 결과, 세 발을 한짝으로 움직일 때가 더 빨랐어요. 즉, 벽을 기어 오를 땐 이렇게 움직이는 게 유리한 거죠.끊임없이 물결치는 박테리아 꼬리 로봇!이스라엘 벤구리온대학교 데이빗 자럭 교수팀은 편모의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영화에서 확인해 보자. 그들은 스패로우를 찾고 있어캐리비안의 해적 1~4편을 모두 본 독자라면 잭을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다. 잭과 함께 전편에 등장하고 있는 헥터 바르보사부터 문어머리를 자랑하는 데비 존스, 싱가폴의 해적 영주 샤오 펭, 5편에 새로 등장하는 살라자르 등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테레프탈레이트(PET)를 빠르게 분해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 일본 교토대 고분자연구소 요시다 쇼스케 박사팀이 PET를 분해하는 박테리아 ‘이데오넬라 사카이엔시스(Ideonella sakaiensis)’를 발견한 것이다.연구팀은 이 박테리아가 이제껏 알려진 다른 플라스틱 분해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내가 바이오로깅으로 측정한 다양한 어류의 유영 속도를 해석한 결과 이것은 말도 안 되는 오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항시 평균 시속은, 놀라지 마시라. 어느 어 ... 이미지들이 귀여운 얼굴로 선사하는 ‘팩트 폭력’을 통해 내 몸과 마음이 작동하는 기본 원리를 정확히 알아보자 ...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아프리카코끼리’는 다시 아프리카코끼리와 둥근귀코끼리 두 종으로 나뉘어요. 본래는 과학자들도 우리가 모두 같은 종인 줄 알았죠. 하지만 2010년, 과학자들이 우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200만~700만 년 전부터 다르게 살아온 두 종이라고 결론 내렸답니다.두 종은 귀의 끝부분을 보고 구별할 수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빨리 가서 33과 0124가 무엇을 말하는지 찾아봐야 했다.그런데 수도 없이 땡땡이를 쳐 본 경험에서 하림은 마고를 떼어놓기가 불가능에 가깝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학교에서 100미터도 떨어지기 전에 마고는 어디선가 나타났다. 여태까지는 별 생각 없이 지냈는데, 비밀결사대의 말을 듣고 보니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비슷하기 때문에, 그 정도 힘만으로 코끼리가 거대한 똥을 밀어 내기란 쉽지 않을 거라고 본 겁니다.연구팀이 이런 엉뚱한 연구를 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14년에는 다양한 포유류 동물들이 오줌을 누는 시간을 분석했습니다. 양 연구원은 “큰 동물은 오줌도 작은 동물만큼 빨리 눴다”며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재료로 교체했다. 미생물 검사도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김혁 태평소금 부장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에는 소금의 원료인 바닷물의 방사능까지 측정하고 있다”고 말했다.태평염전 공장 안에서는 대학 실험실이나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을 법한 장비로 소금의 이물질을 찾아내 제거하는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분야 연구기관 순위에서 미국 터프츠대 다음으로 세계 2위를 차지했습니다.최근에 본 인상 깊은 연구는 육류를 섞어 파는 사기를 잡아내는 기술이었습니다.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육류에 들어 있는 고유의 단백질 아미노산을 구분해 내는데, 들어 있으면 안 되는 고기가 0.1%만 섞여도 바로 알 수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