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력 생산하는 인공 나뭇잎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유리
관으로 구성된 물관을 가진 인공 나뭇잎을 만들었다. 인공 나뭇잎 끝에 연결된
유리
관은 식물의 기공처럼 열려 있어 태양광을 받자 증산 작용을 일으켰고, 초속 1.5cm의 속도로 물을 끌어올렸다.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연구팀은 줄기에 있는 물관 벽에 금속판 1쌍으로 된 축전기를 연결했다.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목적으로 금속을 삽입했다”고 밝혔다. 현재 시크릿폰의 액정을 보호하는 덮개는 강화
유리
로 제작되고, 메인보드 주변에는 스테인리스강이 들어 있다.사람이 휴대전화를 자주 떨어뜨리는 높이는 귀나 호주머니 높이인 1~1.5m 내외다. 낙하시뮬레이션은 이런 높은 곳에서 방향을 바꿔가며 수십 회 ... ...
연세대 수시 2-1: 구술에서 논술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그렇다고해서 연세대 조기 졸업자 전형과 글로벌리더 전형이 특목고 학생들에게 특별히
유리
한 것은 아니다. 대다수의 과학고 학생들이 대학을 준비하는 과정은 일반 학생들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수능 준비를 하는 학생이 거의 없다보니, 특정 과목에 대한 심화 수준은 깊은데 반해 소위 전공(?)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만들기 때문이죠.” 아저씨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나 에폭시수지는 FRP의 강도를,
유리
섬유는 유연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이것저것 이야기를 나누며 텐트에 폴을 끼우다 보니 시간이 꽤 흘렀다. 그래도 내 손으로 세운 보금자리가 점점 모양을 갖추니 왠지 뿌듯했다. 이제 텐트를 고정시키는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있으면 탄성이 저절로 나온다. 스테인드글라스가 빛을 받아 여러 가지 색을 내는 이유는
유리
안에 섞여 있는 나노미터(nm) 크기의 금속 입자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키기 때문이다.흥미롭게도 특정 진동수의 빛은 불순물을 만나도 산란되지 않고 금속 표면을 따라 움직인다. 나노미터 ... ...
자동차 안전장치에 숨겨진 원리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벽이나 다른 차와 충돌하면 승객은 관성에 의해 0.1초 이내로 튕겨져 나가 핸들, 앞
유리
, 좌석과 같은 자동차 내부 장치와 부딪치는데 이를 2차 충돌이라 한다. 운전자나 탑승객은 1차 충돌이 아니라 2차 충돌 때 부상을 많이 입는다. 2차 충돌로 입는 피해를 줄이려면 안전띠를 착용해야 한다. ... ...
흑점 다 어디로 갔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않았거든요. 과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이 인공위성과 같은 인간의 활동에는 오히려
유리
하다고 말하고 있어요. 하지만 언제 다시 활발해질지는 정확히 예측하기가 어려워 계속 관찰하고 있답니다 ... ...
400년 된 무덤에서 되살아난 금빛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아교가 굳으면서 금박 표면 전체가 마치 풀을 먹인 것처럼 딱딱하게 변했다. 소아교의
유리
전이온도 가 95˚C로 상온(20˚C)보다 높기 때문이었다. 금박 표면을 소아교가 덮을 경우 금박의 색이 변하는 문제도 있었다.가장 큰 문제는 소아교나 토끼아교를 금박에 주입할 때 금박이 순식간에 엉겨 붙는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이라면 추천인으로 적당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오히려 담임교사가 추천인으로 훨씬
유리
하다.입학사정관 전형에서는 추천서의 내용이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입학사정관들이 직접 추천인을 찾아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잘 알려졌다거나 글을 화려하게 잘 쓰는 사람을 추천인으로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교수의 연구실에 들어서자 탁자 위에 놓인 동그랗고 반짝이는 물건들이 눈에 들어왔다.
유리
판 아래 곱게 놓여 있는 이 장비들이 바로 인공와우(달팽이관)다. 최근에 김 교수의 생체전자시스템연구실에서는 국내 처음으로 인공와우를 개발했다.“헷갈리지 마세요. 인공와우는 보청기가 아닙니다.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