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은반 위의 과학! 피겨스케이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김연아 선수는 164㎝라는 적당한 키를 가졌거든. 또한 긴 팔다리 또한 피겨스케이팅에
유리
해. 다리가 길면 높게 점프할 수 있어서 공중에 오래 머물 수 있고, 그 결과 회전을 더 많이 할 수 있지. 긴 팔은 같은 동작을 해도 더욱 우아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레슬링의 심권호와 피겨의 ... ...
낮이 가장 긴 달은 하지가 있는 6월인데 왜 날씨가 가장 더운 달은 8월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간
유리
같이 불투명한 물체는 빛이 반사되는 양이 더 많으며
유리
창처럼 투명한 물체는 빛이 투과되는 양이 더 많습니다. 종이 표면에는 맨 눈으로 보기에는 매끄러워 보이지만 사실은 무수히 많은 구멍이 나 있어 울퉁불퉁합니다. 빛이 종이에 닿으면 울퉁불퉁한 표면에서 ... ...
로또에 의혹의 눈길이 떠나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확률은 분명히 0 이다. 이와 비슷한 논리로 파스칼은 ‘팡세’에서 신앙을 가지는 것이
유리
하다고 했다. 하지만 파스칼은 전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만드는 와중에 그런 말을 한 것이다. 누가 로또 복권을 하나 주면 추첨하는 날까지는 기분이 괜찮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님이 물려주신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어졌지만 이 경쟁에서도 미국은 소련에 뒤졌다. 1961년 4월 12일 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은 지구 대기권을 벗어나 궤도비행에 성공한 최초의 인간이 됐다. 한편 미국은 머큐리 계획(1958~1963)을 통해 6명의 우주비행사를 배출했다. “1960년대 말까지 인간을 달에 보내겠다”고 천명한 미국의 ... ...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바이러스보다 더 잘 일어나 몸속의 항체나 항바이러스제와 같은 약품에 내성을 갖기에
유리
하다. RNA 바이러스는 유전자 복제오류를 스스로 교정할 능력이 없어 유전정보인 게놈을 복제할 때 DNA 바이러스보다 돌연변이가 일어날 확률이 약 10만~1000만 배 크기 때문이다.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RNA ... ...
한국과학영재학교, 서울과학고, 경기과학고 2010학년도 입시유형 전격비교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과학잡지를 읽으며 학교 교과 외적으로도 꾸준히 학습하는 습관을 가진 학생들에게
유리
하다. 서울과학고, 경기과학고, 그리고 한국과학영재학교는 신입생 선발방식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세 학교 모두 선발하고자 하는 인재상은 과학자로서의 종합적인 연구능력을 갖출 수 있는 인재다. 따라서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무력화시킬 수 있지 않을까. 정 교수는 “항체보다 RNA 앱타머가 질환을 치료하는 데 훨씬
유리
하다”고 설명했다.RNA 앱타머는 항체의 15 만큼 작아 활용하기 편하며, 표적분자가 당이나 단백질 같은 다른 물질과 결합하면 인식하지 못하는 항체와 달리 표적분자의 변장에도 속지 않는다.게다가 ... ...
침투이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가능할 경우는 오히려 메뚜기들이 한 곳으로 몰려 집단을 이루는 게 생존에 더
유리
하다. 연구자들은 “좁은 지역에 극단적인 밀도로 메뚜기가 모이면 포식자의 먹이 네트워크의 연결성이 없어지는 결과를 낳는다”며 “또 무리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 지 예측할 수 없다는 점도 포식자를 힘들게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방식으로 주변 사물을 감지하는 것이 빛보다 훨씬 유용할 것이다. 즉, 시각보다 청각이
유리
하다. 2) 음속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압력이 높아 매질의 밀도가 높을수록 빠르다(염분에 의한 효과는 너무 작아서 무시한다). 평균적인 해수의 수온은 표층에서 가장 높고 수온약층을 지나며 ... ...
동물원 역사는 동물이 행복해지는 역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자연 속에 놓인 동물은 관람객을 더 행복하게 했다. 좁은 우리에 갇혀 이빨을 드러내며
유리
벽에 주먹을 날리는 오랑우탄보다 나무 기둥에 올라가 줄을 타며 허공을 가르는 오랑우탄이 사람들의 마음을 훈훈하게 했다. 서서히 진보한 동물원의 역사는 동물이 조금씩 더 행복해진 역사와 일치한다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