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나는 과학잡지 만들기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교실에서 살해된 한 학생의 모습이 있었다. 얼굴을 알아볼 수 없도록 외투를 뒤집어 쓴
채
학교 복도를 따라 끌려 나가는 용의자의 사진도 있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은폐돼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교내 살인 사건의 내부고발인 걸까(너무 놀라지 마시길. 기사 작성을 위해 연출된 사진이다).사진을 ... ...
개성 만점 로봇 3인방 더 자이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정신을 차려 보니 이런 모습으로 있지 뭐야. 쇠사슬 같은 끈으로 저 녀석과 연결된
채
말이지.무무지금 내 말하는 거야? 진짜 불편한 건 나라고! 나는 바퀴 두 개로 움직이는 용감한 로봇 전사 무무야. 한 바탕 전쟁이 일어나고 눈을 떠 보니 내 꼬리가 저 거대한 녀석에게 걸려서 빠지지 않지 뭐야.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주차만 해줘도 생활은 매우 편리할 것입니다.”구글 무인자동차는 현재 두 명이 배석한
채
로 지속적인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운전석 옆에는 노트북을 든 연구원이 타는데 이 노트북이 차의 눈이 된다. 도로 상의 움직이는 물체와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순식간에 판별해 움직이는 물체는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교수가 찾아냈다. 그러나 그들은 그것이 플로리겐인지 몰랐고 손에 플로리겐을 쥔
채
12년의 세월을 보냈다. 2007년 쿠플랜드 교수와 시마모토 교수가 FT 단백질이 플로리겐임을 밝혔다. 하지만 그들은 플로리겐을 처음 찾아낸 사람이 아니다. 다만 ‘네가 손에 쥐고 있는 그게 플로리겐이야!’ 라고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새로운 이론은 태양계 안에서 0.01%의 정밀도로 검증된 일반상대성이론을 바꾸지 않은
채
거대한 규모에서만 선택적으로 중력을 수정해야 한다. 이론적으로는 중력에 질량을 도입한다든지, 혹은 숨은 힘을 도입해 거대 규모에서 중력을 수정할 수 있다. 이 수정중력 현상을 관측하는 것은 현재 세계 ... ...
북핵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다른 점이다.핵폭발 지진파를 감출 수 있을까일각에서는 2010년 북한이 지진 신호를 감춘
채
몰래 소규모 핵실험을 했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가능할까.지진파를 관측하면 폭발의 파괴력도 추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규모 4를 기록한 지진은 1kt에 조금 못 미치는 파괴력을 낸다. 이것은 지하의 ... ...
마틴 루터 킹 연설문이 DNA 속에 ‘쏙’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과정에서 오류가 거의 없도록 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 염기 500개를 만들 때 오류 1개가
채
안 나올 정도였다. 또 저장이 끝난 데이터를 다시 원래의 디지털 파일로 100% 되돌리는 데에도 성공했다.연구팀은 DNA 저장매체를 사용해 빅데이터 수준인 페타바이트(PB, 1PB=100만GB) 단위에서 70% 이상,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1메가바이트(MB)가 모래 한 숟가락 정도라면 35조 기가바이트(GB)는 25평(82.5㎡) 아파트 35
채
에 모래가 10㎝ 깊이로 쌓인 정도의 데이터예요. 정말 어마어마하죠?일상생활에서 보물을 찾는다!최근 들어 신문이나 방송 뉴스에 '빅 데이터'라는 말이 많이 등장하고 있어요. 빅 데이터는 문자와 영상, 수치 ... ...
3화 큐피트상과의 한판 승부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터였다. 하지만 다행히 피타가 빨리 알아챈 덕분에 큐피트상들은 창문 밖에서 멈춰 선
채
폴 일행을 노려보고 있었다. 그때 방 밖에서도 쿵쿵거리는 소리가 들려 왔다.“악! 밖에 있는 큐피트상들도 우리가 여기 있는 것을 알아챘나 봐!”“그들이 이 방 안으로 들어오는 건 시간문제야!”“피타!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높이기 위해 두 추의 물질을 달리해보고, 비틀림저울보다 더 예민한 비틀림진자를
채
용했다. 마침내 이중비틀림진자인 ‘외트뵈슈 진자’를 고안해서 실험한 끝에 1909년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은 10억분의 1의 한계로 동일하다고 발표했다.한편 아인슈타인은 1907년부터 중력이 없는 상태에서 가속도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