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5,83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08
삼엄했다. 국가적 관심사가 집중된 자원 생산 시설이라는 사실이 물씬 느껴졌다.“이
분야
를 연구하고 있는 다른 나라 연구자가 이 시설을 보면 금세 따라 할 수 있거든요. 아이디어가 핵심이에요.”난처한 표정을 눈치 챘는지 류 연구원이 덧붙였다. 다행히 사진을 찍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어렵게 ... ...
최후의 1%까지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08
필자는 1991년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학부 과정을 마치고 석박사 연구를 시작했다. 학부 때 컴퓨터의 내부 구조를 이해했다면, 이제는 새로운 방식으 ... 추세로 볼 때 아주 유망하다. 많은 젊은 공학도들이 창의력과 도전 정신을 갖고 이
분야
에 뛰어들어 큰 성공을 거두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 ...
제10회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108
있도록 구체적이어야 한다. 과학 논술이라 할지라도 도입부는 글의 주제와 관련된 다른
분야
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것도 독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방법이다. 최근 일본 동북부의 지진해일로 발생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에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원자력 발전의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08
논구술을 준비하려면 많은 독서를 통해 통합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좋다. 이 글에서는 본지에 구술 가이드를 연재하는 서울 동 ... 있다. 지구에 처음 생명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하거나, 생물체 내 화학 반응을 다루는
분야
인 생화학에 관심 많은 독자에게 적극 추천한다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08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도시의 인구과밀이 주요인일 가능성이 크다. 2009년 신경과학
분야
의 저널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된 논문은 이와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인문사회과학부 다니엘 케네디 박사팀은 편도체가 완전히 파괴된 S.M.이라는 여성을 대상으로 ... ...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08
컴퓨터 그래픽수집한 영상을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도 연구실의 주 연구
분야
다. 지난 2003년에는 2차원 영상을 차곡차곡 쌓아 3차원 영상으로 바꾸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 기술은 ‘메디서프(medisurf)’라는 의료용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쓰였다. 컴퓨터 단층촬영(CT ... ...
뒤돌아서서 후회하는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1108
말았다. 그 작가는 꼭 방송 30분 전에야 원고를 주는 스타일이었다. 필자처럼 어떤
분야
의 전문가들은 대본을 일찍 받으면 대본에만 얽매여 재미가 없어진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는 출연자가 방송 직전에 대본을 받아야만 진짜 이야기가 나온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방송 직전에 대본을 받으면 내용에 ... ...
컴퓨터 시스템 설계학
과학동아
l
201108
아름답게 설계할 수 있는 건축가가 다리도 잘 설계할 수 있듯이, 대학원 과정에서 하나의
분야
를 정해 컴퓨터 시스템을 만들어본 경험은 훗날 다른 영역의 컴퓨터 시스템을 설계하게 되더라도 큰 도움이 된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반도체, 휴대전화, 자동차 관련 회사 등 컴퓨터가 사용되는 곳이라면 ... ...
구글이 31억 4159만 달러를 제시한 이유는?
수학동아
l
201108
경매를 진행했다. 노텔은 사업부진으로 와이파이(Wi-Fi)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분야
에서 6000건이 넘는 특허권을 경매에 내놓았다. 최종 낙찰은 45억 달러를 제시한 애플에게 돌아갔다.그러나 경매가 끝난 뒤 사람들의 관심은 특허권을 얻지 못한 구글에게 쏠렸다. 경매에서 구글이 제시한 ... ...
퍼팅 성공률을 높여주는 지점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08
기초를 정리했는데, 유체역학과 공기역학에서 유용하게 쓰이던 복소수를 수학의 연구
분야
로 분명하게 만든 것이다. 특히 그는 함수의 개념을 오늘날 우리가 배우는 형태로 확장시켜 함수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