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길+개리=원빈?!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가려낼 수 있을까?얼굴인식 기술은 어디까지 발전했을까? 사람의 눈으로도 쉽게
구분
하기 힘든 쌍둥이도 구별할 수 있을까? 일란성 쌍둥이라 하더라도 3D 얼굴인식으로는 구별이 가능하다. 아무리 비슷한 얼굴이더라도 피부의 미세한 주름과 같이 다른 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은 한정된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그림과 같이 ∠AOB의 이등분선을 그린 것이 자오선이다. 이 때 그림자의 끝을 정확하게
구분
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막대 끝에 작은 구멍을 뚫어 그 구멍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위치를 확인하면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매일 12시가 되면 자오선 위로 막대의 그림자가 생긴다.그렇다면 자오선 옆에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관찰해 보면‘몸의 외부’인 셈이다. 즉 정말 우리 몸속 소화기관은 겉과 속의
구분
이 없다!이처럼 위상기하학은 사물을 좀 더 유연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사실 요즘은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다. 자칫 잘못하면 새로운 변화만 쫓기도 바쁜 세상이지만 실제로는 겉모습만 봐서 알 수없는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놓았을 때 겹쳐지면‘주기적 타일링’, 겹쳐지지 않으면‘비주기적 타일링’으로
구분
한다. 주기적 타일링과 비주기적 타일링의 종류는 무궁무진하다. 주기적 타일링의 경우 수학자들이 타일 모양은 똑같지 않아도 타일링의 구조가 본질적으로 같은 경우를 한 그룹으로 묶었더니 모두 17개 그룹이 ... ...
수학 - 잘게 쪼개고 더하는
구분
구적법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구분
구적법의 의미는 말 그대로 잘게 쪼개고 이 요소를 모두 더한다는 의미다. 그런데 간혹 학생들이 매개변수로 표현된 곡선에 의해 둘러싸인 넓이나 부피를 구할 때 엉뚱한 적분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 호에서는
구분
구적법의 색다른 방법과 적용을 실전논제를 통해 알아본다.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리사를 외면했던 총각 시절의 스티브 잡스1.0과 로렌과 결혼한 이후의 스티브 잡스2.0을
구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스티브 잡스는 결혼한 이후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됐다. 양아버지가 그랬듯이 가족을 생각하는 사람이 됐던 것이다. 한때 외면 했던 리사를 데려왔고 자식 교육을 위해 집도 옮겼다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색맹이다?’ 겨울에 눈이 오면 개들이 눈밭을 신나게 뛰어 노는데 그건 희고 검은 색밖에
구분
하지 못해서라는데 사실일까. 상식 둘. 거실에 ‘실례’를 한 개는 자기 잘못을 알고 있어서 주인이 들어오면 꼬리를 감추고 피하거나 알아서 벌을 선다? 개가 그렇게 도덕적인 동물일까.개를 잠시라도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있는 오른쪽 발로 땅을 박차고 나가면 안 된다는 거죠. 반대로 경보에서 ‘반칙’으로
구분
하는 그 발동작을 그대로 계속 이어나가면 달리기가 됩니다.달리는 ‘네발 로봇’이 없는 이유뜬금없이 왜 경보이야기를 하냐면, 로봇이 걷고 달리는 기준도 이 기준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나, ... ...
2악장 - 큰 소리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오늘날의 비올라와는 완전히 다른 악기예요!). 얼핏 봐서는 이 악기를 바이올린과
구분
하기는 힘들어요. 비올에는 여러 종류의 악기가 있었는데, ‘트레블’이라고 부르는 가장 작은 비올은 몸통이 조금 두툼하다는 점만 빼곤 크기가 거의 바이올린과 비슷했거든요. ‘베이스 비올’은 첼로보다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목관과 금관악기는 바람을 리드로 부느냐 입술로 공기 흐름을 막고 여느냐 여부 등으로
구분
하고 재료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나무 특유의 따뜻한 느낌이 사라지는 등 음색에 변화가 있지 않을까요. 연주자나 평론가 가운데에는 그렇다고 말하는 경우도 간혹 있지만, 적어도 음향학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