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좁고 빠른 바람이 생긴다. 이 기류는 지상으로부터 1~3km 높이에 생기는데, 상층제트와 구분하기 위해 하층제트라고 부른다(68~69쪽 참조).남쪽에서 올라오는 습하고 따뜻한 공기는 하층제트를 타고 초속 10~12.5m의 속도로 한반도로 올라온다. 이 고속도로를 타고 올라오는 대기는 북태평양 고기압에서 ...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KTX건, 새마을호나 무궁화호건 모두 같은 폭의 선로를 쓴다. 따라서 어떤 열차도 노선에 구분 없이 운행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선로에 서는 제 속도를 낼 수 없는 게 문제다. 국내 철도는 시속 300km로 설계돼 있는 고속철도 구간, 200km 속도를 낼 수 있는 1급선, 150km의 2급선, 120km의 3급선, 70km의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분류된다.한편 생활사를 구분하여 용원성 주기(lysogenic cycle)와 용균성 주기(lytic cycle)로 구분하는 데 용원성 주기는 숙주세포 게놈에 바이러스 게놈을 삽입하여 대부분 발현되지 않아 증식이 지연되는 과정이며, 용균성 주기는 침입 후 바로 증식하여 결국 숙주세포에서 빠져나오는 과정이다. ...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사는 조류를 해조류라 한다. 조류는 생활 형태에 따라 저서성 조류와 부유성 조류로 구분할 수도 있다. 저서성 조류는 단단한 바닥 표면에 붙어산다. 바닷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대부분 크기가 큰 조류다. 갈조류인 미역과 다시마, 홍조류인 김, ...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년 펴낸 기념비적인 저서 ‘숨겨진 차원(The Hidden Dimension)’에서 타인과의 거리를 4단계로 구분했다. 즉 45cm 이내를 밀접한 거리, 45~120cm를 개인적 거리, 1.2~3.6m를 사회적 거리, 3.6m 이상을 공적인 거리라고 불렀다.사람들은 타인이 개인적 거리를 침범했을 때 불편함을 느끼고 친밀한 거리까지 무너지면 .. ...
- [수학클리닉] 여름방학, 이것만은 꼭!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앞에 다시 나타날 테니, 소홀히 해서는 안 되겠죠? 또한 일차식과 일차방정식을 반드시 구분할 줄 알아야합니다.예를 들어‘일차식 1/3x+1+1/2x-3을 간단히 하여라’와 같은 문제가 나왔을 때, 주어진 문제는 등식이 아니므로 등식의 성질을 이용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즉 x값을 구하는 게 ... ...
-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당시 저장매체 중 가장 속도가 빠르다는 평가를 받았다.“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구분해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기 힘듭니다. 필요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하드웨어로, 다른 경우에는 소프트웨어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둘을 적절히 조화하는 것도 필요하지요. 이를 위해선 반도체 소자의 ... ...
- 따로 사는 판다 부부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판다를 직접 관찰하고, 판다가 남긴 털과 배설물의 유전자를 감식해 판다의 암수를 구분했다.이 결과 대왕판다는 암수 모두 좁은 고도 안에서 사는 것을 알아냈다. 판다는 대나무가 부족한 산의 정상부와 사람이 많이 다니는 낮은곳에는 살지 않아 산의 중턱, 대나무가 자라는 좁은 지역에 산다. ... ...
- 한국적 캐릭터로 세계의 신화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한계가 있다. 초반 설계 때부터 이런 부분을 고려해 액션의 단위를 턴 방식으로 최대한 구분해 부하를 분산시켰다.짧은 시간에 적은 인원으로 게임을 개발하다 보니 상세한 문서를 만들지 못하고 바로 코딩(프로그램 제작)에 들어가는 경우가 허다했다. 이런 경우 서로의 의견이나 생각에 일치하지 ... ...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수학동아 l2011년 08호
- 00장을 찍을 수 있는 사진기를 쓰기 때문에 0.0005초까지 가릴 수 있지요. 1cm의 작은 차이도 구분해 낼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무모한 도전 육상특집 :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