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몸이 먼저 반응하는 곳, 서울시립과학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모래산을 쌓아올려 등고선의 변화를 관찰하고, 레이저와 거울을 활용한 보드 게임으로 빛의 원리와 기하학을 배울 수 있다. 하나, 하나 체험해 봐야 하니 시간적 여유를 갖고 방문하자 ... ...
-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단층촬영기술로 3차원의 영상으로 만들어 암의 깊이를 파악한다. 분광이미징 기술로는 빛의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해 2차원 이미지를 만들어 암조직의 경계를 명확히 확인한다.송 교수는 “세 가지 이미징 기술을 내시경에 담아 진단과 징후를 예측하는 정확도를 80% 이상으로 끌어 올리는 것이 ... ...
- [과학뉴스] 지구랑 꼭 닮은 외계 행성 7개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8개의 행성이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것처럼 트라피스트-1 주변을 돌고 있답니다.●1광년 : 빛의 속도로 1년을 이동한 거리. 약 9조 4670억 km에 해당한다.연구팀은 트라피스트-1 앞을 주기적으로 지나가는 7개 행성을 발견했어요. 트라피스트-1의 밝기가 변하는 것을 보고 앞을 지나가는 행성들을 찾아낸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작게 만들기 위해 렌즈 여러 개를 조합해서 만들어. 물체에서 반사돼 나온 빛이 여러 렌즈를 통과하다보면 B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화각이 넓은 광각렌즈는 A보다 B가 작고, 화각이 좁은 망원렌즈는 A보다 B가 커.화각★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는 시야 범위. 화각이 크면 넓은 범위를 볼 수 ... ...
- [과학뉴스] 50만 개의 뉴런으로 직접 뇌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제목은 ‘흰색·붉은색·보라색 빛 아래에서의 자기 성찰’이다. 사진이 아니다. 세 가지 색으로 물들인 그림이다. 신경과학을 연구해 박사학위까지 받은 작가 그레그 던은 동료와 50만 개의 뉴런을 직접 손으로 그렸다.이 작품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주최한 과학 데이터 시각화 경진대회인 ‘201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손해를 봤지만 감수할 수 밖에 없었다. 불멸자가 암살을 피해 살아남았다는 소식은 빛의 속도에 따라 우주로 퍼져나갈 터였다. 두 사람은 다른 은신처를 찾아 떠나야했다.노마는 용병단 암살자의 공격에서 살아남은 사건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했다. 그리고 우주선 화면 속에서 점점 멀어지는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타박을 받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노란 점액이 묻어 나온 개똥. 위쪽부터 세상의 빛을 본 순서다. 전체 길이를 보면 똥이 직장뿐만 아니라 결장에도 보관됨을 알 수 있다.똥이 항문으로 빼꼼 나온 뒤 땅바닥에 닿을 때!연구를 이끈 미국 조지아공대 기계공학과 데이비드 후 교수는 보도자료에서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악기 제작뿐만 아니라 빛의 움직임에 대한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투기가 빛을 반사해 적에게 노출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최적의 전투기 모양을 찾는 데 쓰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의 듀엣 타임!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Part 2. 수학,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용해 빛을 통과시키고, 중간중간 볼록렌즈로 흩어지는 빛을 다시 모아 지하 150m까지 빛을 보내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 장비를 쓰면 동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자외선과 적외선까지 모두 지하로 보낼 수 있어요. 이런 장점을 인정받아 미국 뉴욕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계 최초의 지하공원,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교하게 조작해 분자 엘리베이터와 분자 인공근육, 분자 모터 등을 만들었다. 2011년에는 빛과 열에 의해 고체 표면 위에서 앞으로 움직이는 나노자동차까지 개발했다. 과학자들은 기술이 발전하면 몸속에서 암세포를 찾아 파괴하는 나노로봇처럼 원하는 분자기계를 설계해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