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다양한 정리를 수학적인 언어로 증명하는 데 다시 쓰입니다.마지막으로 이러한 노력이 빛을 발한 사례를 하나 더 소개할게요. 바로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3차원 공간을 안과 밖으로 나누는 이 구는 직관을 비껴가는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시도한다. 판젠웨이 양자과학실험위성 수석과학자는 당시 JTBC와의 인터뷰에서 “빛의 80%가 대기를 통과할 수 있어 수 천 km까지 전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2004.8.)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0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띄우는 게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그런데 2017년 KAIST 물리학과에서 간유리를 이용해 빛을 산 란시킨 다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한 뒤부터, 홀로그램 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처럼 사 람이나 사물을 생생하게 띄울 수 있게 됐지요. 그러니까 해적이 쏜 대포에 맞더라도 너무 놀라지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멀게는 38억년 전에서 가깝게는 23억5000만 년 전으로 요동친다오늘날 지구가 에메랄드빛을 띠는 건 물을 이용한 산소발생 광합성 덕분이다.이런 광합성을 하는 남세균을 세포가 잡아먹어 조류로 진화하고(왼쪽), 이것이 다시 육상식물로 진화했다(오른쪽). 메타게놈 분석… 최초로 세균 계통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분자들이 태양풍의 영향으로 이온화된 뒤, 태양의 반대편으로 밀려나게 된 거죠. 노란 빛을 띠는 먼지 꼬리는 혜성이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생겨요. 먼지와 모래같은 매우 무겁고 단단한 물질로 이뤄져 있어서 태양풍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랍니다.일반적으로 혜성은 타원 궤도를 그리며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용해 빛을 통과시키고, 중간중간 볼록렌즈로 흩어지는 빛을 다시 모아 지하 150m까지 빛을 보내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 장비를 쓰면 동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자외선과 적외선까지 모두 지하로 보낼 수 있어요. 이런 장점을 인정받아 미국 뉴욕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계 최초의 지하공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후에도 계속 초록색 빛을 냅니다. 덕분에 성체 세포 중에서 어떤 부분이 초록색으로 빛나는지를 살펴보면서 정교하게 세포의 족보를 쓸 수 있게 됐습니다.두 번째 질문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은?“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은 탄생도, 결혼도, 죽음도 아니요, 바로 배엽형성이다.” 유명한 ... ...
-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속한답니다. 대신 이들은 곤충을 먹는 박쥐에 비해 눈이 크고, 시력이 좋아요. 그래서 빛이 거의 없는 밤에도 주위를 볼 수 있답니다.식물에 맞게 아예 몸의 기관이 진화하는 경우도 있어요. 2005년 에콰도르에서 발견된 긴주둥이꿀박쥐는 몸길이는 평균 6cm 정도인데, 혀 길이가 9cm 정도나 된답니다. 긴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교하게 조작해 분자 엘리베이터와 분자 인공근육, 분자 모터 등을 만들었다. 2011년에는 빛과 열에 의해 고체 표면 위에서 앞으로 움직이는 나노자동차까지 개발했다. 과학자들은 기술이 발전하면 몸속에서 암세포를 찾아 파괴하는 나노로봇처럼 원하는 분자기계를 설계해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 ... ...
- [Photo] 우주는 사랑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파노라마 사진이다.초록빛 오로라가 얼어붙은 강 건너편의 숲 위로 넘실대는 모습이 달빛과 어우러져 환상적인 모습을 연출한다. 편집자주 ‘사랑의 결실’은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25회 천체사진공모전의 심우주 부문 은상 수상작이다. 이 작품을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