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기술
공학
d라이브러리
"
응용과학
"(으)로 총 2,13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종교 부흥회에서 불치병이 회복되는 기적이 일어난다고 한다. 또 명상을 하면 웬만한 질병이 치료된다. 이 현상들은 몸의 자연치유력이 발휘돼 발생한 것일가. 아니면 기(氣)와 같은 제3의 생명에너지가 존재하는 것일까.복음전도사가 “일어서라. 너의 병은 나았다”라고 소리치자 수많은 청중이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최근 컴퓨터 바이러스 때문에 울상을 짓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 지금까지 차곡차곡 정리해온 값진 데이터들이 일순간에 송두리째 날아갔기 때문이다. 어디다 하소연조차 할 수 없는 컴퓨터 바이러스. 이제 남의 일이라고 웃어넘길 수만은 없다.20xx년 4월 13일 금요일, 컴퓨터 프로세서를 생산하는 ... ...
뇌과학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얼마 전, 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전자애완동물 ‘퍼비’(Furby)가 어른들의 간절한 요청으로 마침내 잠을 자게 됐다는 보도가 있었다. 쉬지 않고 재잘거리는 퍼비는 컴퓨터 칩이 내장된 장난감 인형. 눈 귀 입 등을 움직일 뿐만 아니라 간질이면 킥킥 웃기까지 한다. 외부 자극에 반응해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서있는 고층 빌딩들, 여기에는 자꾸만 하늘로 향하는 인간의 꿈이 숨쉬고 있다. 장대한 규모의 고층 건축물은 과학적 구조공학이 이룩한 쾌거다. 바람과 지진에도 끄떡없이 서있는 마천루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안을 들여다본다. 인간의 하늘을 향한 상승욕구와 도심지 ... ...
제2의 태양계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태양과 비슷한 크기의 항성 주위를 돌고 있는 3개의 행성이 이루는 외부행성계가 발견됐다. 이 세 개의 행성은 입실론 안드로메다라는 항성 주위를 도는 것으로 밝혀졌다. 행성들은 모두 목성과 같이 두꺼운 기체층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입실론 안드로메다는 지구에서 44광년 떨어진 매우 가깝 ... ...
자연의 일부 생태건축 그린빌딩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인간은 지금까지 자연을 통제하고 변형해서 엄청난 문명의 진보를 거듭해왔다. 그 중에서도 인간이 건설한 수많은 건축물들은 자연을 지배하고 변형해 이룩한 인류의 기념비이다. 최근 인간이 이룩한 과학기술문명의 파괴적인 후유증을 목도하고 건축에서도 자연친화적인 사고를 실천하려는 움직 ... ...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오랜 세월 동안 이땅에 뿌리내리고 살아온 우리 조상들은 이땅의 풍토에 가장 알맞는 건축을 이룩했다. 전통 건축을 애정으로 바라보면 조상들의 슬기와 과학정신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 건축에 숨은 기하학, 천문학, 수학을 찾아보자.건축은 흔히 기술과 예술의 결합체라 한다. 우선 건축은 외부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1958년 지구 밖에서 도넛 모양의 방사선대가 발견됐다. 이 방사선대는 생명을 보호해주고, 화려한 오로라를 일으킨다. 이를 발견한 사람은 밴 앨런. 밴 앨런은 누구이며, 그가 발견한 밴 앨런대는 어떤 것인지 알아보자.지난해 말 미국 아이오와대학으로 과학교사 해외연수를 갔을 때였다. 그곳에서 ... ...
현대판 '열려라 참깨' 염력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마음으로 물체를 움직이거나 금속을 구부리는 능력인 염력. 과연 생각만으로 채널을 돌리고 문을 열 수 있을까. 아니면 염력은 한낱 속임수에 불과한가.한밤중이었다. 바울과 실라는 기도하면서 하느님을 찬미하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그들을 묶은 쇠사슬이 풀리고 감옥 문이 열렸다(사도행전 16:25 ... ...
① 테크노크라트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북한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과학기술자들을 먼저 알아야 한다고 한다.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실시하고 있는 북한 사회는 기술관료가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재 북한을 움직이는 핵심 과학기술자들은 누구일까.북한은 ‘기술가 정치’(Technocracy)라는 사회적 특성을 갖춘 사회이다. 테크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