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남극에서 총 7번 기구를 띄워 우주선의 종류와 에너지를 측정했지요. 크림 프로젝트에 참여한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박일흥 교수는 “위성보다 싸고 기기를 회수할 수 있어서 기구로 먼저 실험해 검증을 한 뒤 더 큰 규모의 실험을 진행한다”고 말했어요. 연구팀은 지난 8월 14일, 크림 프로젝트를 ... ...
- [과학뉴스] 먹이의 경로를 예측해서 사냥하는 잠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이런 방법으로 하루 동안 수백 마리의 모기와 하루살이를 사냥한답니다. 연구에 참여한 스티븐 위더만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곤충인 잠자리도 물체의 경로를 예측한다는 것을 알아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로봇의 시각이나 자율주행차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이식 수술에 성공했어요. 또 2016년에는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 김시윤 연구교수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원숭이 머리를 영하 15℃에서 얼린 뒤 다른 몸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지요. 두 사례 모두 오래 살지는 못했지만, 뇌 세포가 전혀 손상되지 않았다는 데 큰 의미가 있었어요. 사람의 머리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환경을 좋아하는 여러 종류의 민물고기가 함께 살아갈 수 있답니다.” 이날 탐사에 참여한 원준이네 팀의 이원준(서울 우면초 4)대원은 “민물고기 탐사는 처음 참가했는데 그 재미에 흠뻑 빠졌다”며, “연구소에서 다양한 민물고기를 직접 보며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이런 마음으로 수원청개구리 보존을 위해 연구하실 텐데, 앞으로 수청이 탐사에 열심히 참여해야겠다”고 말했지요. 지구를지키는왈랄라 팀의 노희제(대전 전민초 4) 대원은 “곤충이 인간보다 하등한 생물이라고 생각했는데, 에코리움에서 개미들이 협력해 살아가는 걸 보고 생각이 달라졌다”며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과학 분야의 집합체_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김보연 연구원오션원 설계에 참여한 10여 명의 과학자 중에는 우리나라 김보연 연구원도 있어요. 현재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 과정 중인 김보연 연구원으로부터 오션원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어요.Q. 오션원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F1이라고 부르는 이 자동차 경주 대회는 예선을 통과한 10명의 선수가 총 21개의 경주에 참여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는 사람이 우승을 하는 대회예요. 평균 시속 350km 이상으로 달리면서도 주변의 모든 위험 요소와 감독의 지시를 파악해야 하는데, 속력이 너무 빨라 코너를 돌 때면 중력의 최대 5배의 ...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위치와 상관없이 붉은 불개미 한 마리는 세 마리의 무게만 견디면 됐지요.연구에 참여한 크레이그 토베이 교수는 “붉은 불개미 한 마리는 자기 몸무게의 750배까지 견딜 수 있다”며, “하지만 붉은 불개미는 한 마리가 동료 세 마리의 무게를 견딜 때가 가장 안정적이라는 걸 터득했을 것”이라고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친구들은 지상 20m 상공에 있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일에 함께 참여했어요. 더스트 버스터즈 연구원들은 사전에 여러 테스트를 통해 미세먼지를 포집하기에 가장 적합한 필터를 찾았지요.“드론 바로 밑에 포집기를 달면 드론이 포집기를 장애물로 인식해요. 그래서 드론에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시작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예요. 현재 아프리카와 북미, 유럽의 연구소와 정부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지요.목표는 아프리카에서 말라리아를 옮기는 얼룩날개모기 3종을 멸종시키는 것! 연구팀은 이 얼룩날개모기 3종이 자손을 낳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변형시킨 뒤, 아프리카에 풀면 11세대 만에 모두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