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또, 이곳에는 저희를 위협하는 천적이 없기 때문에 빠르게 이동하지 않아도 돼요.연구에 참여한 레오니드 크루그리아크 교수는 “날개가 짧아지면 잠수할 때 부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먹이를 구하는 데 더 유리할 것”이라며, “날 필요가 없어 체중을 늘릴 수 있게 되면 몸속에 더 많은 산소를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유익한 일도 하고 싶어요. 곤충의 매력은 정말 끝이 없답니다~! 현장교육에 열심히 참여하는 이유가 있나요?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의 장점이 현장교육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생태탐사에 참석하고, 숲 유치원도 다녀봤어요. 그런데 선생님에 따라 교육 내용이 만족스럽기도, ... ...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하고, 훈련 당일에는 지역 경찰이 학교 캠퍼스에 배치된다. 캘리포니아 주는 미 전역 참여율의 절반을 넘길 만큼 셰이크아웃에 열심이다. 이유는 명확하다. 샌안드레아스 단층 때문이다. 태평양판과 북미 대륙판이 맞부딪쳐 만들어진 샌안드레아스 단층은 지금도 활발히 움직이며 지진의 불씨를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장비 없이 둥지 수와 새끼 수만 조사했는데, 2006년부터는 우리도 과학자들의 연구에 참여하게 됐어. 인간들이 할 수 없는 일을 우리가 해 주고 있지. 인간들이 가져온 첨단 장비를 몸에 달고 우리 생활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말이야. 사생활 침해 논란도 있기는 했지만 잘 해결됐어. 지금은 우리 마을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늘어난 학생들의 진로 상담도 열심히 들어 주었으며, TV 강연과 잡지 칼럼에도 한 번씩 참여 했으며, 그 외에도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곤충학자가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일을 했다. 쉽지 않은 일이었다. 하지만 지옥처럼 힘들지는 않았다. 진정한 지옥의 문은 다른 곳에서 열렸다. 곤충학자는 흔한 ... ...
-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역 빈민촌에는 매주 전 세계로부터 폐전자제품이 배달돼요.1989년 대부분의 국가가 참여한 바젤협약은 폐전자제품을 포함한 유해한 쓰레기를 다른 국가에 버리는 것을 금지하고 있어요. 하지만 여전히 몇몇 나라들이 이 쓰레기를 ‘중고제품’으로 둔갑시켜 다른 나라에 버리고 있지요.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이디어를 발굴한 뒤 이들이 실제 시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총 55개 팀이 참여한 가운데 서류와 발표 평가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고, 올해 7월 본선에 진출할 8개 팀이 가려졌다. 나노 패터닝 기술로 금속의 색상을 원하는 대로 제어하고, 나노 광(光)안테나를 이용해 ‘식물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넘긴 논문이 최소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질적 성과지표의 활용도 향상 연구에 참여한 김민우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경영관리팀장은 “고피인용도 논문 수는 최상위 수준의 연구에만 해당하는 만큼 모든 연구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필수 지표로 사용하기는 어렵다”며 “주요 국가의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정의 에어컨을 비상시 중앙에서 통제하는것을 허락하는 공익사업에 사람들이 참여하는 정도가 관찰가능성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실험했다. 한 아파트에는 우편물 보관실처럼 주민들이 많이 드나드는 장소에 가입 신청서를 게시하고 신청자의 이름과 동, 호수를 기록하게 했다. 이 경우 “어,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지요.이번 바이오블리츠에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50명을 비롯해 총 200명의 일반인이 참여했어요. 참가자들은 8개의 조로 나뉘어 전문가와 함께 채집하고 분류하는 활동을 진행했지요.생물에 따라 주로 활동하는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낮뿐만 아니라 밤과 새벽까지 탐사가 진행됐어요. 이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