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앞서 민들레 잎에서 보았던 피보나치 수열의 완벽한 형태죠. 잎은 이러한 각도와
규칙
으로 날 때 위에 있는 잎이 아래 잎을 가리지 않고 햇빛을 최대한 받을 수 있습니다. 그 덕분에 나무그늘에는 햇볕이 거의 들지 않아 여러분이 편하게 쉬어갈 수 있답니다. 선인장 나선의 비밀 선인장에는 세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무려 1300만 자리수로 수천 장의 종이가 있어야 겨우 쓸 수 있다.소수의 배열에 일정한
규칙
이 있을지, 소수의 개수가 무한한지 등 소수와 얽힌 다양한 의문은 지금까지도 수학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쌍둥이 소수 추측_소수에도 출생의 비밀이?소수 중에는 2만큼 차이 나는 쌍이 있다. 예를 ... ...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당시 사람들에게는 이상하지 않았어요. 눈은 이렇게, 물고기는 저렇게 그려야 한다는
규칙
이 있어서 그대로 그려진 것뿐이거든요. 그런데 이 그림을 보다 보면 20세기의 유명한 화가 피카소의 그림이 떠올라요. 그림 ➍ 속의 얼굴을 보세요. 한 얼굴에 앞모습과 뒷모습이 동시에 그려져 있어서 원래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을 찾으려는 꿈이 있었어요. 그가 발표한 ‘
규칙
’은 방정식의 형태로 이뤄졌습니다. 이처럼 방정식은 학문과 실생활 모두에 쓸모가 많답니다.이유1 생활 속에 일어나는 문제의 해결사방정식은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도구입니다. 그래서 방정식을 ... ...
은하 운명 위협하는 초거대 블랙홀의 식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생성되면서 은하계의 심장에 있던 차가운 가스가 가열된다는 것. 가열된 기체는 불
규칙
하게 운동하다가 결국 은하계 중심에서 밀려나고, 은하계 중심의 밀도는 낮아진다. 새로운 별을 만들수 없게 된 은하는 점차 붉은빛을 띠다가 결국 소멸된다.실제로 연구팀은 블랙홀의 질량과 블랙홀이 속한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전혀 없을까. 기상청 이덕기 과장은 “한반도 지진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매우 불
규칙
한 특징이 있다”고 말한다.세계적으로 판 경계에선 지금도 끊임없이 지진이 발생한다. 일본의 경우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접경지대에 있어 지진 피해가 많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유라시아판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찾을 수 있었으니까요. 균일한 나노입자 크기가 일정한 나노입자로 물성이 균일하고
규칙
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MRI 조영제나 자기저장매체 같은 다양한 재료로 쓰일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창의연구사업으로 소수의 과학자에게만 연구비가 몰리는 게 문제라는 지적도 있습니다.현 : ... ...
셈도사 베레미즈의 모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7명의 다른 수학자와 승부를 벌입니다. 그 중 한 명이 베레미즈에게 참인 사실에서 거짓
규칙
이 나올 수 있냐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베레미즈는 네 자리 수의 제곱근 이야기를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2025의 양의 제곱근은 45입니다. 그리고 2025를 두 부분으로 나눈 20과 25를 더하면 45가 됩니다. 3025의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대부분의 강진들은 판의 경계면에서 일어나지만 아무런
규칙
적인 움직임이 없는 곳에서도 작은 지진들이 일어난다”며 “만약 응력이나 지나가는 지진파 때문이 아니라면 이는 여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요즘도 캐나다의 세인트로렌스 계곡에서 작은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19세기에 이르면 발견된 원소의 수가수십 개에 이른다. 그런데 이들 원소가 일정한
규칙
에 따라 배열된다는 사실을 알아 낸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멘델레예프다.원소를 질량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하면 화학적인 성질이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멘델레예프는 이런 생각을 더욱 발전시켜 원소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