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불규칙위성은 정규위성에 비해 목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목성에서 가장 가까운 불규칙위성인 테미스토는 평균 공전 반지름이 739만km로 정규위성에서 가장 먼 칼리스토의 공전 반지름(188만km)의 4배에 이른다. 목성에서 가장 먼 위성은 2003년 발견된 ‘S/2003 J2’로 평균 공전 반지름이 3029만km나 ...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작은 나노입자들이 모인 큰 구형 입자가 만들어졌다. 이 구형 입자는 나노입자들이 규칙적인 크기와 배열로 모여 있기 때문에 광결정으로 이용할 수 있다.물 대신 빛을 쬐면 딱딱해지는 감광성 액체를 사용하면서 구형 광결정을 빠르게 생산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물방울은 증발할 때까지 기다려야 ...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자리부터 일정한 숫자가 무한히 반복되는 수고, 비순환소수는 소숫점 아래가 일정한 규칙 없이 무한히 나열된 수다. 순환소수는 영어로 repeating decimal이라고 한다. repeating은 순환을 의미하는 라틴어 repetere(레페테레)에서 온 말로 ‘반복해서 말하다’라는 뜻이다. 비순환소수는 영어로 terminating ... ...
- 태어난 순서로 성격 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은행원에게 돈을꼭 투자해야 하지만, 은행원은 투자자에게 돈을 돌려주지 않아도 되는 규칙이었지요. 투자자는 돈을 돌려받을지 알 수 없으니 은행원을 믿지 않으면 돈을 주지 않을 테고, 은행원은 투자자에게 고마움을 갚으려는 마음이 없으면 돈을 갚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 거예요.실험 결과 ... ...
- 몸이 느끼는 편안함수학동아 l2010년 01호
- 뼈나 척추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낮은 진동은 한 번에 큰 충격을 주지는 않지만 규칙적으로 힘을 가해 알지 못하는 사이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농업이나 산림업에 일하는 사람이 당하는 부상의 40%가 진동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바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공사장과 ...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칼잡이 잭의 부활?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역시 퍼즐이 담긴 쪽지를 남겼군! 우리와 게임을 하자는 건가. 그런데 이 숫자에 일정한 규칙이 있잖아!”도형과 네로 울프는 합심해 퍼즐을 푼다. 3. 누명을 벗어라도형과 네로 울프가 풀어 낸 퍼즐의 정답을 가지고 고심하던 런던경찰은 허풍과 도형에게 다가와 말한다.“자, 이제 확실해졌군요. ...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선택”이라고 강조한다. 안전을 고려한 수렵 규칙도 세웠다. 수렵은 해가 떠 있는 동안에만 이뤄지고 시가지와 인가가 있는 곳에서는 금지된다. 사냥꾼들은 시장이나 군수로부터 총기를 소지하도록 허가를 받아야 하며 수렵을 할 때는 반드시 안전요원들과 ... ...
- [교과연계수업] 새해맞이, 달력은 어떻게 만들까?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설명할 수 있다.4. 교과 연계초등 3~4학년 규칙을 수나 식으로 나타내기, 초등 5~6학년 규칙과 대응5. 수업 지도 순서학생 각자 자신이 준비한 달력을 보면서 달력의 특징을 찾아 자유롭게 발표하기 ▶ 학생들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눠 각각 일, 주, 월, 년 부분에 해당하는 수학동아 기사(2009년 1 ...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알아야 하지 않을까요?여름 태풍은 북태평양고기압을 타고 온다태풍은 움직임이 매우 불규칙해 진로나 이동 속도가 자주 바뀝니다. 그래서 3일 전에야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지요. 하지만 수학적 계산을 통해 태풍을 예상해 볼 수는 있어요.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여름엔 13개의 태풍이 발생하고, 그 ...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주요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펩티도글리칸은 당 분자와 아미노산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돼 그물망 구조를 이뤄 세포벽을 단단하게 해주는 고분자다. 펩티도글리칸 덕분에 박테리아는 이온 농도가 낮은 환경에 놓여 삼투압으로 물을 흡수해도 터지지 않고 버틸 수 있다.그렇다면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