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길
길거리
가로
통로
통행로
거리
경로
d라이브러리
"
도로
"(으)로 총 1,86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컴퓨터시대에 부활된 선사시대의 유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효시라 할 수 있는 전형들을 만들어냈다.1949년에는 UN에 의해 제출된 제네바 프로토콜이
도로
표지판 제정의 효시가 됐다. 이보다 1년 앞선 런던 올림픽 경기에서 각종 경기 및 행사를 구별하기 위한 픽토그램들이 사용됐는데, 제네바 프로토콜과 함께 아이콘 국제화의 시작이었다.1956년에는 ... ...
당신의 생명을 구해주는 튜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밖으로 불쑥 튀어나온 이른바 ‘마이너스 휠’을 장착한 차도 마찬가지. 이런 차는 고속
도로
주행시 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기 일쑤여서 보는 사람을 불안하게 한다.참을수 없는 튜닝의 유혹PC통신 게시판에 올라 있는 튜닝 자랑을 하나 살펴보자.“내차(현대 뉴그랜저)의 튜닝 내역입니다. 선루프 ... ...
웹인터내셔널 대표 윤석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달리 제조업 이외의 뉴스도 상당수 들어 있다.인터넷의 사용도를 높이기 위한 또 다른 시
도로
인터넷을 교육에 접목시키는 시도가 활발하다. 화상, 음성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광범위하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인터넷 교육서비스는 많은 학생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선생님, 변화가 잦은 입시 ... ...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속한다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연과정의 원인들이 동일한 방식과 강
도로
과거의 모든 지질학적 과정들에도 똑같이 작용했다고 보는 견해로서, 19세기 스코틀랜드 지질학자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에서 본격적으로 ... ...
모르면 더 위험한 안전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요구할 수 없다.급제동할 때만 타이어가 잠기는 것은 아니다. 모래밭이나 비포장
도로
, 빙판길에서는 더욱 쉽게 타이어가 잠기게 된다. 겨울철 빙판길에 차가 미끄러지는 것은 바로 타이어가 잠긴다는 것의 다른 표현이다. 즉 노면의 마찰저항이 적으면 타이어가 잠기기 쉽다.이러한 잠김을 어떤 ... ...
음악듣고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잘 큰다.계속한 시험에서 음악을 듣고 자란 백일홍, 메리골드, 양란은 한 눈에 알아 볼 정
도로
더 커졌다. 그러나 연구소 동료들의 관심을 끌지는 못했다. 어쩌면 그들 마음속에 “조작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했을 지도 모른다. 후에 선배 연구원 한 분이 그런 말이 있었다고 전해 주었다 ... ...
3. 개인용로봇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인간의 뇌 신경을 모델로 개발된 뉴럴 네트워크가 있다. 음성 인식 기술은 현재 빠른 속
도로
발전하고 있으므로 머지않아 인간의 자연어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전망이다.⊙인간-기계 인터페이스개인용 로봇은 산업용 로봇과는 달리 인간과 유사한 모습을 지닐 것이다. 종래의 인간-기계 ... ...
온두라스에 운석 떨어져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Teucigalpa)의 인구 밀집지역에 운석이 떨어졌다. 운석은 커피농장 수에이커를 태우고 고속
도로
를 망가뜨리면서 폭 50m의 거대한 분화구를 만들었다. 주민들은 하늘에서 커다란 불덩어리가 떨어지면서 노랗고 빨간 빛을 내며 폭발하는 것을 봤다고 증언했다. 온두라스 국립대학의 물리학자 피네다는 ... ...
카레이싱 -극한을 돌파하는 첨단의 경연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여러 차례 추돌한 뒤에도 선수가 걸어서 나오는 것을 보고 의아해 했을 것이다. 일반
도로
같으면 중상 내지 사망에 이를 것 같은 조건에서 멀쩡하게 살아남는 이유는 뭘까.이는 특유의 안전장치 덕분이다. 경주에 참가하는 모든 차량은 롤케이지(roll cage)를 장착하도록 돼 있다. 롤케이지는 강도가 ... ...
적외선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실제로 현재의 과학기술로 이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벽 뒤에 있는 물체를 높은 해상
도로
보기 위해서는 X선을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X선은 투과도는 매우 높지만 반사를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X선을 쏘게 되면 반사돼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은 거의 없다. 우리는 아무 것도 볼 수 없는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