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이제 6에 대해서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지. 숫자가 너무 흔하게 쓰이다 보니 숫자를 봐도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여행으로 일상생활 곳곳에서 내가 활약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줬으면 좋겠어 ... ...
- PART 3. 왜 고등학교에서 쓰나?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있다. 전자계산기는 이들이 고등학교 과정을 따라가게 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또 숫자에 약하지만 테크놀로지에 익숙한 학생들에게도 좋은 도구가 된다. 장경윤 교수는“전자계산기를 안경 같은 도구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눈이 나쁠 때 안경을 쓰고 보듯 전자계산기로 부족한 계산력을 ... ...
- [Global Math] 만화 속에서 수학을 찾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만드는 사람 중에는 수학을 전공한 사람이 많다고 한다. 이들은 만화 속에 등장하는 숫자나 그래프에 저마다 의미 있는 수학 개념을 담았다. 이 만화에서 학교 장면이 나오면 칠판에는 어김없이 중요한 수식이 적혀 있다. 모르는 사람은 단순한 배경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수학자가 보기에는 감탄할 ... ...
- 왜 1+1=2인가?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수를 2라고 쓰기로 하고 2의 다음 수를 3이라고 쓰기로 했어요.지금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로만 말하자면 자연수 중에서 첫 번째 수를 1이라고 한 거예요. 왜 1이첫 번째 수냐고 물으면 곤란해요. 이건 약속하자고 한 거니까 인정해줘야 해요. 1의 다음 수인 2도 자연수, 2의 다음 수인 3도 자연수라는 ... ...
- 전 세계 인터넷 달군'48÷2(9+3)'의 답은?수학동아 l2011년 05호
- 것.③ 수식이 잘못됐다. 곱셈기호를 생략하려면 ÷대신 /(분수식)을 사용해야 하며, 숫자만 있을 때는 곱셈기호를 생략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어겼다. 예를 들어 8/4/2라면 이것이 2/2인지 8/2인지가 애매하다는 것.전문가들은 어떻게 말할까?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는 “트릭을 쓰려고 만든 식인데,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방사능에서 벗어나는 법수학동아 l2011년 05호
- 구분된다. 요오드127은 원자번호가 53으로 원자핵 속에 양성자가 53개 있다. 127이라는 숫자는 원자의 질량을 뜻하는데, 양성자와 중성자를 합한 수와 같다. 즉 요오드127에는 중성자가 74개 있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요오드131’은 요오드127의 방사성 동위원소다. 동위원소란 원자핵을 구성하는 ... ...
- PART 2 달인의 노하우, 전격 공개하다! : 변형 보드게임 만들기, 4단계!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수 있답니다.달인의 변형 루미큐브 ➊ 십자 모양으로 배열하기➋ 짝수 타일만 쓰기➌ 숫자 1을 13 뒤에 붙이기tip 한눈에 보는 보드게임 변형 비결!➊ 1단계 : 게임의 조건 알기➋ 2단계 : 게임의 규칙 알기➌ 3단계 : 기존 규칙에 의문 갖기➍ 4단계 : 규칙 바꾸기▼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5호
- 해. 사람의 세포수가 약 60조 개니까, 사람의 세포보다 훨씬 많은 어마어마한 숫자지. 머리부터 발끝까지 피부는 물론 사람의 장에도 엄청난 수의 박테리아가 살고 있어. 종류도 엄청나게 다양해서 사람의 피부에는 150여 종, 사람의 장 속에는 400여 종의 박테리아가 살고 있단다. 물론 이 중에는 ... ...
- PART 1 어떤 보드게임도 새롭게 탄생한다! : 카드를 전부 내야 한다, 우노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약수도 될 수 없기 때문에 0 카드는 쓰지 않기로 합니다.tip 변형 카드게임카드에 보통 숫자가 있기 때문에 카드게임은 변형 게임을 만드는 것이 쉬운 편이다. 사칙연산이나 약수와 배수, 홀수와 짝수 같은 내용을 규칙에 넣으면 수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또 특수카드 기능을 적절하게 ... ...
- PART 1-1 내 마음을 맞혀봐, 게스 후수학동아 l2011년 05호
- 것이고요.이제 게임 규칙을 알았으니 변형 게임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게스 후 게임은 숫자보다는 논리를 다루는 게임이라서 규칙을 바꾸기보다는 규칙을 확장하거나 게임 도구를 바꾸는 방법을 써 봤습니다.변형 ① : 세 가지 동물 맞히기게스 후 게임은 집합의 연산과 논리를 이해하는 데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