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어느 별보다 멀리 있는
천체
로 2백20만광년쯤 떨어져 있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
인 셈이다. 안드로메다은하의 뿌연 빛다발은 지구에 인류의 조상이 나타났던 먼 옛날에 이 은하를 떠나 2백만년이 넘는 긴 우주여행을 마치고 우리 눈에 도착한 빛이다.안드로메다자리의 머리에서 다리로 ... ...
하나의 은하가 여섯개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은하 3개가 이루는 삼각형의 외부에 4개, 내부에 2개의
천체
모습이 보인다. 실제 이
천체
는 중력렌즈보다 7억광년 더 떨어진 곳에 있는 하나의 은하다.중력렌즈는 우주에서 질량이 어떻게 분포하는지 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특히 이번 중력렌즈는 어떻게 ... ...
스티븐 호킹 필적하는 로저 블랜포드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분야로 다시 컴백했고, 우주선(cosmic ray)기원과 중력렌즈에 대해 연구중이라고 대답했다.
천체
물리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미래에 재미있을 만한 주제에 세가지를 손꼽았다. 먼저 우주에서 어느 시기에 어떻게 은하가 생성됐는지를 밝히는 은하형성이론이 ... ...
달에 도착한 최초의 우주인 항아와 오강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선교사로 들어왔다. 그 선교사들이 만든 서양의 천문도 속에는
천체
망원경으로 바라본
천체
들의 모습이 그려졌다. 조선의 천문학자들은 외교사절을 따라 청나라에 들어가 각종 선진문물을 수입해왔다.그들은 새로운 방식의 천문도를 몇가지 남겼는데, 그 중 하나가 안국빈 등이 만든‘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지 못했다는 점이었다.이런 경험이 바탕이 돼 좀더 발전된 국내
천체
물리학의 여건을 조성하는데 밑거름이 되길 바랄 따름이다. 무엇보다도 블랙홀에 대한 많은 젊은이들의 참여와 관심이 기대된다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것이 왜 이해하기 어려운지 이해가 될 것이다. 이 결과는 눈에 보이는별과같은
천체
가아닌다른‘눈에보이지않는 물질’이 존재해야 한다고 설명하지 않으면 이해가 안된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즉 암흑물질이 존재해야 한다는 근거를 마련해주고 있다. 아니면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이 틀렸든지.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그렇지 않다는 점에 조심하자.문제(3)의 정답은 ×다. 왜냐하면 동서남북 방향은 자전하는
천체
의 표면에서만 정의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양계의 동쪽’ 같은 방향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실은 ‘태양계 위’, ‘태양계 아래’ 같은 개념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앞에서 위, 아래에 인용 ... ...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과학의 완성을 성찰한 책이 출간됐다.저자는 과학 대중화에 지대한 공헌을 한 세계적인
천체
물리학자 칼 세이건(Carl Sagan, 1934-1996). 영어로 출판된 과학 서적 중 가장 널리 읽힌 ‘코스모스’의 저자로 잘 알려진 그는 생애 마지막 작품인 이 책에서 사람들이 사이비과학(pseudo-science)에 빠져드는 ... ...
과거엔 빛의 속도가 달랐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결과를 얻었다.퀘이사는 우주 초기에 출발했던 빛이 지금 관측될 정도로 멀리 있는
천체
다. 퀘이사의 빛이 긴 여행을 하는 동안 중간에 가스구름을 통과하면 일부는 흡수된다. 이런 빛의 흡수현상이 과학자들에게 가스와 빛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연구팀은 퀘이사의 빛이 가스를 이루는 원자에 ... ...
옛사람이 들려주는 우주생성 신화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누구나 한번쯤 우주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하는 궁금증을떠올린 적이 있을 것이다. 현대과학은 우주생성에 대해비교적 잘 설명하고 있지만 옛날에는 어떠했을까.우리조상이 들려주는 우주생성 신화에 귀기울여보자.밤하늘의 숱한 별들을 바라보면서 여러분은 무슨 생각을 하는가. 저 우주와 우리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