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체"(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과학동아 l2001년 09호
- 그렇지 않다는 점에 조심하자.문제(3)의 정답은 ×다. 왜냐하면 동서남북 방향은 자전하는 천체의 표면에서만 정의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양계의 동쪽’ 같은 방향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실은 ‘태양계 위’, ‘태양계 아래’ 같은 개념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앞에서 위, 아래에 인용 ...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과학동아 l2001년 08호
- 구름에 덮여있어 햇빛의 70%를 반사합니다. 이 구름 때문에 금성은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의 하나로 보이지만, 그 너머의 표면은 보지 못합니다. 보통 우주선의 카메라로도 볼 수 없기 때문에 보이저 익스프레스의 강력한 화상 레이더로 금성의 진면목을 보여드리겠습니다.”화상 레이더에 잡힌 ... ...
- 불가사의한 별 미라가 밝아진다과학동아 l2001년 08호
- 맨눈으로 간신히 보일 정도다. 천왕성은 최근 바다염소자리의 동쪽에서 빛나고 있다. 천체망원경으로는 푸르스름한 작은 원반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 ...
- 중성미자 질량 존재 97% 확신과학동아 l2001년 08호
- 대변할 수 있다. 하나는 실험실 가속기로 중성미자빔을 만드는 방법이고 나머지 둘은 천체현상과 관련된다. 우주에서 날아온 우주선이 지구 대기 분자와 충돌해 생성되는 중성미자와, 태양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과정으로부터 나오는 중성미자가 그것이다. 태양에서 나오는 중성미자는 ... ...
- 오누이가 타고 올라간 동아줄 미수과학동아 l2001년 08호
- 해님 달님 얘기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이야기다.그런데 여름 밤하늘에 오누이가 타고 올라간 동아줄이 걸려있다는사실은 아마 잘 모를 것이다. 남쪽하늘에 걸린 미수가 바로 그것이다.여름밤 미수를 바라보며 오누이의 얘기를 떠올려보자.맑은 여름밤 찬란한 은하수를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보 ...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잔별이 모여서 희미하게 퍼져보이는 것이 은하수라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갈릴레이가 천체망원경으로 하늘을 바라본 약 반년 정도의 기간은 인류의 역사를 뒤집어놓은 시간이다. 이 기간 동안 새로 발견한 사실을 모아서 지은 책이 바로 ‘하늘의 전령’(Siderius Nuncius)이란 책이다. 이 책에는 달에 ...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과학동아 l2001년 07호
- 때 사용했던 방향 결정법을 증언해주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피라미드 건설자들의 천체 관측 눈썰미도 예사롭지 않았던 것 같다.기원전 2500년 경 당시 북쪽하늘에는 정북을 알려줄 만한 별이 없었다. 현재 정북 방향에는 북극성이라는 별이 있지만 당시에는 그렇지 못했다. 왜냐하면 천구의 ...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새로운 물리학이 열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1970년대 중반 호킹이 블랙홀도 여느 천체와 마찬가지로 빛과 물질을 내어놓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1970년대 후반 블랜포드(Blandford) 같은 사람들에 의해 회전하는 블랙홀의 에너지를 직접 꺼내 쓸 수 있다는 이론들이 주장되면서부터, ... ...
- 태양이 가장 멀어지는 7월 여름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새벽하늘에 펼쳐지는 색다른 장관으로 말이다.이날 새벽하늘을 보면 매우 화려한 천체들이 지평선 부근을 수놓는다. 맨위 그믐달에 가까운 작은 달이 떠있고, 조금 아래에 밝은 행성인 토성과 새벽하늘을 밝히는 샛별인 금성이 먼저 눈에 뜨인다. 또 토성과 금성 바로 옆에는 밝은 황소자리의 1등성 ...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과학동아 l2001년 06호
- 때 지구와 화성이 같은 방향인지 다른 방향인지에 따라 거리 변화가 유달리 심하다. 두 천체가 가장 가까이 만나는 시기는 우주공간에서 태양과 지구, 그리고 화성의 순서로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때다. 이런 시점을 ‘충’이라고 부른다. 지구와 화성이 충을 이루는 시기는 평균 7백80일, 즉 2년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