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거야. 작은 부품 하나라도 방해하면 로봇이나 자동차로 바뀔 수 없거든.실현된다면?
하늘
을 날기 위한 변신사람이나 동물을 닮은 로봇은 날기 어려워. 하지만 로봇이 비행기처럼 날개를 펴는 모양으로 변신한다면 뜨려는 힘인 양력을 많이 받을 수 있어. 날기 위해서라면 로봇이 변신할 필요가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구의 위치에서 관측하면 우주의 어느 방향을 보나 거의 비슷하게 관측된다.그런데
하늘
을 둘로 나누면, 우주배경복사가 한 쪽 방향에서 미세하게 (0.1% 정도) 더 뜨겁게 나타난다. 이는 지구가 이쪽 방향으로 치우쳐 초속 약 627km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놀랍지 않은가! 태양계 내에서 지구의 ... ...
이야기 풍기는 봄꽃, 매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똥은 매화매화에 관한 재미난 이야기가 있어. 바로 임금님 똥 이야기야. 옛날에 임금님은
하늘
에서 내려온 대단한 사람으로 여겼어. 그래서 임금님은 똥도 누지 않는다고 생각했지. 대신 매화를 눈다고 했단다. 정말일까?아마 친구들도 눈치챘을 거야! 그래, 임금님 똥을 ‘매화’라고 불렀던 거지. ... ...
해외탐사Big3 - '과학특별시민'을 모집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애니메이션 의 주인공인 흰동가리를 비롯한 알록달록한 물고기들이 가득하다.
하늘
에서 살펴본 맹그로브 습지는 하트 모양의 장관을 선사한다. 동화 속 풍경처럼 펼쳐지는 아름다운 섬 뉴칼레도니아에서 해양 탐사의 기회를 놓치지 말자!대상 초·중학생 | 선발 인원 2명 | 후원 ... ...
날아라, 모스 글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실을 매달아 종이를
하늘
높이 띄우는 이 놀이는 벤자민 프랭클린의 연날리기 실험처럼
하늘
을 날지 못하는 사람을 대신해 실험에 사용되기도 했다.연이 날아오를 수 있는 것은 바로 ‘양력’ 때문이다. 양력은 공기같은 유체 안에서 물체가 수직방향으로 받는 힘이다. 연은 위쪽이 둥글기 때문에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몸에 비해 탄력이 좋아 몸보다 화석화되기 쉽다. (우) 이처럼 커다란 하루살이가 해질녘
하늘
을 날아다닌다면 어떤 느낌일까. 고생대 석탄기에 살았던 하루살이의 상상도.]그렇다면 저는 얼마나 뛸 수 있을지 궁금하시죠? 2cm짜리 벼룩이 눈앞까지 펄쩍 뛰어오른다고 생각하면…, 흐흐. 그런데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흔적 ‘스트로마톨라이트’에서부터 신이 거꾸로 심은 듯한 ‘바오밥나무’, 남반구 밤
하늘
에서만 볼 수 있는 남십자성에 이르기까지. 덤으로 호주를 여행하는데 필요한 에티켓과 지식까지 갖춘 이 책은 일종의 ‘서호주 사용설명서’다.학습 근육을 키워라박 연구원과 함께 서호주를 다녀온 2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실 타이타닉은 그 당시에도 유명했다. 타이타닉은 과학과 기술에 대한 낙관주의가
하늘
을 찌르던 시절의 산물이었다. 영국과 독일 같은 기술 선진국은 경쟁적으로 크고 화려한 배를 만들었다. 때마침 신흥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던 미국은 사회기반기설을 닦을 인구가 많이 필요했고, 유럽에서 ... ...
20회 천체사진공모전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플레이아데스 성단처럼 인기 좋은 천체는 물론 창의적인 구도로 밤의 풍경과
하늘
을 아름답게 담은 작품도 많았다. 심사를 맡은 정규성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은 “대상을 받은 작품은 색상과 세부 묘사가 매우 뛰어나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훌륭한 작품이며, 전체적인 수준과 예술성이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0년 7월에는 임무 시작 이후 처음으로 전체
하늘
의 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현재 플랑크는
하늘
전체를 고주파(100~850GHz)와 저주파(30~70GHz)로 나눠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먼저 고주파 영역의 관측을 마쳤다.마지막으로 다른 이유 때문에 우주로 올라간 우주망원경을 살펴보자. 지난해 7월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