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0년 7월에는 임무 시작 이후 처음으로 전체
하늘
의 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현재 플랑크는
하늘
전체를 고주파(100~850GHz)와 저주파(30~70GHz)로 나눠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먼저 고주파 영역의 관측을 마쳤다.마지막으로 다른 이유 때문에 우주로 올라간 우주망원경을 살펴보자. 지난해 7월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다. 60억 염기서열은 1초에 하나씩 한 번 읽기만 하는 데도 90년이 걸리는 빅데이터다.
하늘
로 눈을 돌려보자. 우주 전체를 디지털 데이터로 만드는 ‘슬론 디지털 우주 조사(SDSS)’ 프로젝트는 하루 200GB의 천문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책은 어떨까. 전세계의 디지털 책에서 사용된 단어 중 2010년 1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달라진다고 말이다. 케크 망원경이 북반구의
하늘
을 봤다면 VLT 망원경은 남반구의
하늘
을 관측한다. 웹 연구팀은 서로 다른 우주를 바라본 두 망원경의 데이터를 하나로 펼쳐보았다. 그랬더니 α 값이 남쪽으로 갈수록 늘어났다. 우주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α 값이 달라지는 것이다.이는 현대 ... ...
날개 두 겹으로 초음속 뚫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용하면 가능한 일이다.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던 초음속여객기가 다시
하늘
로 돌아올 가능성이 열렸다. 키키 왕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날개를 두 겹으로 만들면 기존 초음속여객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대표적인 초음속여객기인 ... ...
생물학의 대가, 에세이를 쓰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다.굴드의 이력에서 이색적인 것은 101편의 서평이다. 그의 탁월한 글쓰기 솜씨가
하늘
에서 떨어진 게 아니라는 사실을 짐작하게 한다. 마침 우리나라에서도 생물학자의 서평 책이 나왔다. 우리나라에서 과학글쓰기의 대가를 꼽으라면 반드시 언급될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의 ‘통섭의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차오르면서 무게중심과 부심이 한꺼번에 흐트러졌다. 타이타닉 호는 점점 한쪽 끝이
하늘
로 솟아 올랐고, 그 부분에 중력이 과하게 작용해 결국 두 조각이 난 채로 침몰하고 말았다.많은 이들의 관심과 기대 속에 출항한 ‘꿈의 배’ 타이타닉 호는 이렇게 인간의 지나친 욕심으로 꿈의 배 대신 ... ...
4화 위기일발! 폴의 추락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모르는 자 모두 이 곳에 가지~♬”그러더니 요정들은 폴이 갇힌 감옥을 감싸며 순식간에
하늘
높이 날아오르기 시작했다.“이거 놔 줘! 어디로 가는 거야? 폴리스! 폴리스!”하지만 폴리스 역시 대책이 없었다. 그저 폴이 어디로 향하는지 방향을 주시하며 소리칠 뿐이었다.“당황하지 말고 정신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당락이 결정됐다.“아버지와 합격자 명단을 몇 번이고 봤지만 제 이름이 없는 거예요.
하늘
이 노랗더군요. 3수하면 된다고 위로하시는 아버지와 혹시나 하는 심정으로 2지망으로 지원한 화공과 합격자 명단을 봤습니다.”여기서 자신의 이름을 발견하고 자신도 모르게 괴성을 질렀다는 서 교수는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건축하고 설계하는 일은 별자리를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우리가 매일 밤 보는 별은 밤
하늘
에 떠 있는 수천 개의 별 중 하나에 불과하다. 각기 만들어진 시기도 다르다. 하지만 이들을 모아 별자리를 만들면 하나의 별도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된다. 도시도 마찬가지다. 건물과 도로는 의미없는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다른데, 대개 민물에 사는 물고기보다 바다에 사는 물고기의 부레에 산소 비율이 높다.
하늘
을 나는 곤충이나 새의 몸속에도 이와 비슷한 쿠션(기낭)이 들어 있다. 기낭에 공기를 모아두면 체중이 가벼워져 날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특히 새의 몸속에 들어 있는 기낭은 폐와 연결돼 있어, 표면적을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