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2,56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다이빙 금메달 따고 싶다면 지원하세요!
수학동아
l
201702
흔히 다이빙을 2초의 예술이라고 합니다. 동작을 많이 반복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지만 자칫하면 묘기가 끝나기 전에 물에 닿고 말죠. 과연 ... 대회에서 이 동작을 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2016년 12월 19일 출판 전인
논문
을 모아두는 온라인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실렸습니다 ... ...
[과학뉴스]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
과학동아
l
201702
내고, 이 산성물질에 저항메모리가 녹는다. 실험 결과, 데이터가 완벽하게 지워졌다.
논문
의 공동 1저자인 이종하, 유병준 연구원은 “일반 나노입자는 파장이 980nm인 빛만 흡수할 수 있는 반면, 이번에 개발한 나노입자는 가시광선 영역대를 흡수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개인 데이터나 ... ...
[과학뉴스] 오바마 ‘사이언스’에 기후정책 글 기고
과학동아
l
201702
8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1월 20일 퇴임하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에 기후정책에 대한 글을 기고했다. 현직 미국 대통령이 과학학술지 ... 지난해 7월에는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미국의학협회저널(JAMA)에 공공 의료보험 도입을 주제로 한
논문
을 게재했다 ...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02
16년 6월 학술지 ‘에너지와 환경과학’에 실렸다”며 “백 연구원과 한 연구로 현재까지
논문
3편을 쓰고 특허도 2건을 출원했다”고 말했다.현재 두 사람은 태양전지를 주제로 다음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반도체가 흡수한 빛이 전기신호로 바뀔 때 금속이 있어야 하는데, 이 금속에도 나노 디자인을 ... ...
루이 브라유의 일기
수학동아
l
201701
마침내 파리왕립맹학교에 입학했어. 가족들과 떨어져 지낸다고 생각하니 무척 떨리지만 그동안 눈이 불편해서 할 수 없었던 공부를 마음껏 하고 싶어. 이곳은 나처럼 앞이 보이지않는 학생이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이거든. 친구도 100명이나 있어. 내일부터 친구와 함께 열심히 공부할 생각이야! ...
[과학뉴스] 서열 낮으면 면역력도 낮아진다
과학동아
l
201701
낮은 암컷의 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
의 공동 저자인 캐나다 몬트리올대 면역유전체학과 루이스 바레이로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사회적 위치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빈곤층과 노동자 계층의 사람들이 심장병이나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01
그 대신 나무 사이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날개가 점점 짧고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
논문
의 제1저자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여행을 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제작한 지도를 통해 인류는 새의 날개 모양과 지구상 분포 사이의 관계를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01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관측된 아름다운 행성의 모습도 이를 뒷받침해준다.
논문
의 제1저자인 암스트롱 연구원은 “태양계 바깥의 거대한 가스 행성에서 날씨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외계 행성의 대기 변화를 연구하면 지구형 행성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01
야생닭을 암암리에 구해준다.미국 캔자스대 생물학자 타운센드 피터슨은 1999년 발표한
논문
에서 “보존을 위해 20세기 중반에 미국으로 옮겨졌던 것을 제외하면 (원서식지였던 남아시아 지역에서) 이클립스 깃털을 가진 원조 적색야계는 멸종했다”고 선언했다. 피터슨은 또 “유전적으로 순수한 ... ...
[DJ CHO의 롤링수톤] 우주로 떠난 머큐리의 여정 '퀸의 39'
수학동아
l
201701
열정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메이는 밴드생활을 쉬고 있던 2007년, 약 30년 만에 완성한
논문
‘황도의 티끌구름에 관한 시상속도’로 기어코 천체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2015년에는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를 비롯한 100여 명의 저명한 과학자와 함께 소행성 충돌 위험을 경고하는 행사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