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2,56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erview] 낙심한 물리학자, 귀인(貴人) 만나 ‘인생 역전’
과학동아
l
201701
받지 못한 것은 물론 응집물질물리학의 역사가 몇 걸음 퇴보했을 것이다.두 사람의
논문
이 주목받게 된 계기는 1977년에 2차원 초전도체가 발견되면서부터다. 두 사람이 제시한 이론에 따른 예측과 실험 결과가 정확히 맞아떨어지면서 재조명받기 시작했다. 코스털리츠 교수는 “전통적인 방법이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701
상호성의 예가 있을까. 어느 날 트리버스는 책상에 앉아서 비친족간의 상호성에 대한
논문
초고를 쓰기 시작했다. 예상 외로, 상호성에 대해 쓸 것들이 아주 많았다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701
제목으로 180개 관련
논문
을 리뷰한 13페이지
논문
이 실렸다(DOI: 10.1038/nrn3916).
논문
에서는 명상이 뇌에 구조적인 차이를 일으켰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임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을 시켰을 때, 양측 해마와 왼쪽 측두엽, 소뇌 부위에서 회색질 조직의 밀도가 ...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4
묻자 이렇게 말했어요. 쉬 싱 박사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만 34편의
논문
을 낸 깃털공룡 화석 분야의 석학이지요.공식적으로 시조새가 새의 조상으로 여겨지기 시작한 건 지난 1861년 시조새 화석이 발견된 이후였어요. 시조새는 깃털을 이용해 하늘을 날면서도 새와 파충류의 모습을 ... ...
[쇼킹 사이언스] 거대한 보석들이 반짝반짝 나이카 결정 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1
이곳을 연구하고 있어요. 연구를 통해 동굴의 환경과 결정의 특징 등에 대한 10여 편의
논문
이 발표되었지요. 또 결정 사이에 남아 있는 미생물 흔적을 통해 과거의 동굴 속 환경을 더 자세하게 알아내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답니다. 멕시코 정부는 결정 동굴을 잘 보전하기 위해 유네스코 ... ...
[과학뉴스] 모에 매달려 노래하는 수청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9
차지하고, 경쟁에서 밀린 수원청개구리가 논의 안쪽으로 쫓겨 간 것을 의미해요. 함께
논문
을 진행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는 “수컷 개구리는 짝짓기를 하기 위해 노래한다”며, “암컷이 외부에서 논으로 알을 낳으러 오기 때문에 논둑이 짝짓기에 유리하다”고 말했어요. 게다가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심리학과 데이비드 휘트니 박사는 테니스 경기 4000건에서 오심 사례 83건을 찾아 분석한
논문
을 발표했어요. 테니스 경기에서는 공이 선 밖으로 나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득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요. 오심은 이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 경우였지요.촬영된 영상을 통해 오심을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
수학동아
l
201612
만든 사람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데테르는 얼마 뒤 말을 바꿔서 하벨이 1983년에 쓴
논문
에서 처음 제기했다고 이야기했습니다.가운데층 문제를 해결하기까지n이 1일 때는 해밀턴 회로가 있다는 것을 쉽게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n이 2만 되도 해밀턴 회로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 ...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
과학동아
l
201612
반면 진짜 진통제를 처방받은 환자들은 오른쪽 해마옆이랑 영역이 활성화됐다.
논문
의 교신저자인 노스웨스턴 의대 바니아 압카리안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누가 플라시보 반응을 강력하게 보일 수 있는지 미리 골라내 임상 시험을 지금 보다 훨씬 정확하게 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이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12
탐사하기가 쉽지 않았다. “가다가 재밌는 게 보이면 무조건 차를 세웠습니다.
논문
을 통해 이미 알고 있었던 곳도 실제로 가서 지질구조를 살펴보고 암석 노두도 만져봐야 창의적인 연구가 나올 수 있거든요.” 이 책임연구원은 백두산과 인접한 화산들이 백두산의 형제·자매와도 같다고 말했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