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장"(으)로 총 1,2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십자매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407
- 발성학습이 가능한 동물은 대단히 적다. 영장류 중에서는 사람뿐이고, 포유류 전체로 확장해도 고래, 박쥐, 코끼리 정도다. 조류 중에는 명금류(참새목), 앵무새목, 벌새목의 세 계통이 있다.이런 새들은 번식기가 되면 수컷이 암컷에게 구애하기 위해 또는 세력권을 지키기 위해 노래한다. 그런데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06
- 있었고, 리만 기하학은 당시 어떤 착상보다도 인간이 고려할 수 있는 기하공간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특히 리만은 가우스의 곡면이론을 엄청나게 발전시켜서 ‘내재 기하학(Intrinsic Geometry)’, 그러니까 외부의 관점을 완전히 배재하고 주어진 모양 안에서 사는 개체가 느끼는 기하학을 개발했다. ... ...
- [뉴스포커스] 수학자를 꿈꾼 소년,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406
- 대해 연구하는 분야다. 한 예로 x²+y²=1을 만족하는 점들의 집합은 원이다. 한 단계 더 확장하면 평면 위의 모든 2차 곡선은 ax²+by²+cxy+dx+ey+f=0이라는 식에서 계수를 조정해 얻을 수 있다. 이런 수식이 표현하는 모든 곡선이 포함된 공간을 ‘모듈라이 공간’이라고 부르는데, 대부분의 모듈라이 공간은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06
- 서열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습니다. 이로써 영장류의 색각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확장됐습니다.그 결과,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구세계원숭이와 신세계원숭이의 색각은 유전자부터 근본적으로 달랐던 겁니다. 구세계원숭이는 세 종류의 옵신 유전자를 갖고 있었어요. 각각 서로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의 본질수학동아 l201405
- 반도체 덧셈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무척 간단하다. 이 때문에 긴 반도체열도 자연스럽게 확장된다.N+N=N, N+C=C, C+C=N가령 CCC+CNC를 계산하면 각 자리를 따로 더해서 NCN을 얻는다. 수의 덧셈보다 훨씬 쉽다. 그런데 곱셈은 꽤 복잡하다. 표를 보면 (CCN)¹=CCN, (CCN)²=NCN, (CCN)³=CCC, (CCN)⁴=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과학동아 l201405
- 2300만 년 전)로 울릉분지와 야마토분지가 넓어졌다. 마이오세 중기(1500만 년 전) 무렵까지 확장과 침강을 통해 동해 해저가 깊은 해양분지로 발전하게 된다. 그런데 마지막 단계가 중요하다. 약 1500만 년 전에 일본 규슈 남쪽에 인접한 태평양판이 필리핀판으로 교체됐다. 이 과정에서 동해 해저를 ...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03
- 하지만 동물과 사람의 1부1처제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동물 연구를 사람에게 확장해 해석할 때는 조심해야 합니다.”그럼에도 과학자들조차 동물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류의 1부1처제를 알고 싶어한다. 최근 ‘사이언스’와 ‘미국국립과학원회(PNAS)’에 발표된 두 편의 논문 역시 각각 ... ...
- 수학을 꽃피운 아름다운 도서관수학동아 l201402
- 건립 계획을 제안하지만 성사되지 않는다. 실망한 그는 자신의 집에 있던 개인 도서관을 확장하기로 결심하고, 평생에 걸쳐 유럽 전역에 있는 책들을 수집했다. 그 결과 당시 영국에서 가장 큰 도서관을 만들게 된다.한편 존 디에게는 또다른 관심사가 있었으니 바로 연금술과 마술, 점성술이었다. ... ...
- 2014 설 특집 목욕의 신이 알려 주는 목욕의 비밀 5어린이과학동아 l201402
- 기원전 33년 로마시에 170개의 로마식 목욕탕이 있었는데, 약 300년이 지나 로마가 영토를 확장한 4세기에는 로마식 목욕탕이 약 1000개나 있었다니 정말 대단하지?로마 목욕탕은 열욕실, 미온욕실, 냉욕실, 수영장, 탈의실 등을 갖춘 대규모의 목욕탕이었어. 지금의 대중목욕탕처럼 남탕과 여탕이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01
- 상호작용하는 무거운 입자(Weakly Interacting Massive Particle, 윔프)’다.1983년에는 표준모형을 확장한 초대칭이론(1파트 참조)에서도 윔프가 나타났다. 초대칭이론에서는 우리가 보는 기본입자가 모두 ‘초대칭 짝 입자’를 갖는데, 그 중 가볍고 안정적이며 중성인 일부 입자가 곧 윔프라는 주장이다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