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장"(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거리 두기를 실천했다. 전기 공학자 아리 네호라이를 주축으로 한 연구팀은 SEIR 모형을 확장한 코로나19 예측 모형을 개발해 합리적인 거리 두기 방법을 제안했다. 연구팀은 SEIR 모형에 사망한 그룹과 입원한 그룹을 추가해 총 6개 그룹으로 코로나19 상황에 놓인 인구 집단을 구분했다. 이 중에서 ...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생각했습니다. 제 삶의 목표는 ‘행복의 확장’이에요. 그동안은 봉사나 기부로 행복의 확장을 이뤄왔는데, 이제는 정치로 더 넓은 사회, 더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해 역할하고자 합니다. Q IT 전문가가 정치를 잘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있다물론 정치는 완전히 새로운 분야입니다만 저는 제가 ...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자연신경망의 생물학적, 물리적 한계를 벗어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을 통해 인지 기능이 확장되는 ‘인지 증강’이 일어나는 셈이다. 초인간적인 감각 인식이나 계산, 데이터 분석 등이 가능한 인공신경망을 자연신경망과 접합함으로써 일종의 ‘사이보그’가 탄생할 수도 있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속속 시작되는 가운데 IBS 순수물리 연구단에서는 초기 우주를 연구해 표준모형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그 중심에는 2023년부터 IBS 순수물리이론 연구단 우주물리 및 중력이론 그룹을 맡은 야마구치 마사히데 연구단장이 있다. 3월 12일 IBS 본원에서 만난 야마구치 단장은 “저의 목표는 ... ...
- [논문탐독] 유전질환 스위치 OFF 후성유전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DNA 서열의 변경 없이 단백질을 조절하는 후성유전학적 관점에서, 유전질환의 일종인 혈관확장성 운동실조증(이하 A-T)의 치료를 모색합니다. A-T는 어릴 때 발병하며 대부분 소뇌가 위축돼 신경 퇴화, 기억력 및 운동능력 감소를 보입니다. 세포 단위의 연구에서 A-T 환자는 ATM 단백질이 매우 ... ...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인류의 삶을 어떻게 혁신해왔는지 소개하는 저자는 이 존재들의 사소한 기능이 꾸준히 확장되는 과정을 치밀하게 서술한다. ‘볼트와 너트, 세상을 만든 작지만 위대한 것들의 과학’이라는 책 자체가 독자의 인식에서 볼트와 너트처럼 작고 단단하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저자는 거대한 ... ...
- [한눈 과학] 3월⟶ 1월 봄 시작 당겨진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국한되던 아열대 기후의 영역이 강원 일부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 대부분 영역으로 확장된다. 현재(2000~2019년) 서울의 계절 길이일평균기온이 5℃이상 올라간 후 다시 내려가지 않는 첫 날을 기준으로 봄이 시작된다. 여름은 일평균기온 20℃이상이 기준이며, 가을은 일평균기온 20℃미만, 겨울은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남반구에 있다. 남아공에는 2~85cm 파장의 우주 전파를 수신하는 SKA mid(미드)가 MeerKAT의 확장판으로 건설된다. SKA mid는 MeerKAT 64기의 망원경에 새로 건설될 133기의 15m 망원경을 더해서 최대 150km 크기의 망원경 분해능을 얻도록 설계됐고 2021년 건설이 시작됐다. SKA mid는 2029년 완공을 목표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그 이상) 있다는 내용의 ‘비둘기집 원리’로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이 원리를 좀 더 확장하면 램지 수 문제가 됩니다. 비둘기집 원리 설명에서 남자, 여자 또는 옷 색깔 등을 두 사람이 서로 아는 관계와 서로 모르는 관계(한쪽만 아는 관계도 포함함)로 바꾸면 되죠. 이처럼 수학은 작은 구조에 ... ...
- 아직 다 밝히지 못한 정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자연수 범위에서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만약 소인수분해를 유리수 범위로 확장하면 6 = 12 × 1/2, 24 × 1/4, 30/3 × 3/5, …과 같이 무수히 많은 경우가 생긴다. 또 자연수 범위에서 유일하게 역수가 존재하는 수가 1이다. 그래서 1은 소수에서 제외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면 역수가 존재하는 수를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