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검출기를 거쳐 지하의 수신기에 도착한 뮤온 입자의 경로를 확인했어. 옥상의 검출기를 기준으로 사람이 들고 있는 수신기가 감지한 뮤온 입자의 상대적 좌표를 확인했지. 그 결과, 지하에서 사람이 이동한 경로와 뮤온 입자의 경로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 높은 정확도를 달성했어. GPS와는 어떤 ... ...
- [어수티콘 사전] 부등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과 같이 나타내요. 이때 [?]은 3일 수도 있고, 3보다 큰 수일 수도 있지요. 반대로 어떤 기준보다 작거나 같은 수를 나타내고 싶다면 ‘[?]≤5’와 같이 나타내요. 이때 [?]은 5일 수도 있고, 5보다 작은 수일 수도 있지요. 이러한 부등호는 [?]이 어떤 수인지 모를 때 주로 쓴답니다 ... ...
- 분수로 나타내는 ‘박자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적혀 있다면 한 마디에 8분음표(♪) 6개만큼의 박자가 연주돼야 하지요. 하지만 꼭 기준 음표만 넣을 필요는 없어요. 한 마디 안의 음표를 모두 더했을 때 정해진 박자가 나오면 되거든요! 예를 들어 박자표가 4/4라면, 한 마디에 들어가야 할 박자는 4분음표(♩) 4개만큼(1+1+1+1=4)이므로 총 ... ...
-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이 빨대를 물게 하려고 리깅했는데, 좀처럼 빨대가 물리지 않는 거예요. 기본 아바타 기준으로 빨대를 콧구멍에 꽂힐 때까지 끌어올렸더니, 빨대가 커스텀 한 아바타의 입에 겨우 물리더라고요.” 제작의 마지막 단계는 아이템을 유니티 엔진에 올리는 거예요. 모델링하고 질감을 선택한 아이템을 ... ...
- 길이로 정했어요, ‘도레미파솔라시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기준이 되는 줄의 길이를 정하고, 이 줄에서 나는 음을 ‘도’라고 불렀어요. 기준의 1/2 길이인 줄에서 나는 소리는 ‘한 옥타브★ 높은 도’라고 했지요. 줄의 길이가 절반씩 줄어들 때마다 조화로운 소리가 난다고 여겼거든요. 그리고 그 사이에 다양한 소리가 나도록 일정한 비율에 따라 각기 다른 ... ...
- [출동, 슈퍼M] 수박을 공평하게 나눠 먹는 방법은 무엇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서로 다르기 때문에 분수로 나타낼 수 없지요. 그런데, 1/8 크기의 수박 조각 가운데를 기준으로 절반을 자르면 크기와 모양이 똑같은 조각 16개가 돼요. 각 조각은 원래 수박의 1/16 크기가 되지요. 이렇게 자르면 모든 사람이 크기와 모양이 똑같은 수박 조각을 먹을 수 있어요. 또 모든 수박 ... ...
- [어수티콘 사전] 분자, 분모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분자!Q. 아래에 있는 수가 ʻ분모’, 위에 있는 수가 ʻ분자’인가요?맞아요! 선분을 기준으로 분모는 아래쪽, 분자는 위쪽에 쓰기로 약속했는데, 꼭 부모님이 자식을 업어주는 것 같은 모습이라고 해서 어머니 모(母), 자식 자(子) 자를 붙여 이름 지었지요. 분수에서 분모는 전체를 똑같이 나눈 수,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세페이드 변광성과 초신성 모두를 품은 은하를 활용해, 초신성의 밝기를 거리 측정의 기준으로 표준화하는 작업을 해왔다. 좀 더 정확한 세페이드 변광성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오차가 더 크며 불확실한 초신성 거리 측정법을 보정(calibration)하는 셈이다. 이런 사전 작업이 함께 이뤄지면, 초신성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022년 기준 전 세계에서 가장 바쁜 공항은 미국 애틀랜타 국제공항이라고 합니다. 2022년 한 해에만 약 72만 건의 항공기 이착륙을 처리했다고 하는데요. 이것은 하루 동안 이착륙이 약 1800번 이뤄진다는 뜻입니다. 수많은 비행기가 공항 주변을 둘러싼 가운데, 비행기들은 어떻게 충돌하지 않고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료 로봇 기술이 상용화되려면 기술을 개발한 이후에도 임상 시험을 거치고 안전 기준을 확립하는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그럼에도 너무 재밌고 보람찬 일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의료용 로봇 개발은 연구자만 열심히 한다고 되는 게 아닙니다. 의사에게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 이야기를 듣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