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유 2. 킬러문항의 수학 교육적 가치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분석했어요.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김상우 책임연구원은 “교육 과정 성취기준에 명시된 사항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직접 그래프를 그려보는 수학적으로 의미 있는 행동을 하며 답을 찾을 수 있는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2022학년도 수능 미적분 29번 문항도 교육부는 ‘삼각함수,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진행하는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성적인 분석 없이 IF와 같은 단순한 평가 기준을 두는 것이 평가 결과를 편향되게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2017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요아힘 프랑크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정부에서 하는 R&D(연구개발) 투자가 과학자들에게 특정한 방향으로 ...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않는 핵’인거죠. 존재하는 핵과 존재하지 않는 핵은 어떻게 결정하는 걸까요? 그 기준은 바로 질량, 곧 에너지입니다. 양성자 8개, 중성자 8개로 뭉쳐져 있는 산소-16은 양성자 8개와 중성자 8개 각각의 질량보다 더 적습니다. 뭉쳤을 때 더 가벼워질 수 있는 이유는 결합 에너지로 질량을 쓰기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영국, 일본, 네팔, 나이지리아, 스페인, 우크라이나 연구자로 정했다. 이들 국가를 선정한 기준은 영어 수준(원어민 수준, 중간 수준, 낮은 수준)과 소득 수준(높은 소득, 중하위 소득) 두 가지였다. 이 중 나이지리아와 영국은 영어가 공용어인 나라다. 연구팀은 일본은 낮은 영어 수준과 고소득,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성충 시기를 거칩니다. 알인 상태에서 하루나 이틀 정도 있으면 부화하고, 암컷 모기를 기준으로 짝짓기 후 피를 빨 수 있는 성충이 되기까지 20일 정도가 걸려요. 모기는 성충이 되고 나면 3번 정도 알을 낳고 죽습니다. 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한 번에 200개가량의 알을 낳으니, 암컷 모기 한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충분히 얻으면서 너무 뜨겁거나 차갑지 않아 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본 거죠. 이 기준에 따르면 목성과 위성들은 태양에서 너무 멀어 생명체가 살기 적합하지 않아요. 목성의 표면 온도●는 영하 약 110℃, 대표적인 목성 위성 유로파도 가장 추운 곳은 영하 220℃에 이르거든요. 더욱이 목성 내부는 ... ...
- 이유 1. 킬러문항 정의는 제각각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곱셈의 개념이 섞여 있어 문제라고 하는 꼴”이라고 지적했어요. 교육부의 킬러문항 기준 중 ‘출제자가 기대하는 풀이 방법 외 다른 방법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에요. 송용진 인하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수학의 매력은 수학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풀 수 있는 ... ...
- [포토뉴스] 세상에서 가장 큰 꽃 라플레시아 멸종 위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등록돼 있어 라플레시아의 위급한 상황이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IUCN 분류 기준에 따르면 25종은 ‘위급(CR)’, 15종은 ‘위기(EN)’, 2종은 ‘취약(VU)’에 해당해 모든 종의 라플레시아가 적색목록에 추가돼야 한다. 연구팀은 “라플레시아 속을 구하기 위한 공동 조치를 해야 한다”며,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초록선을 연장하면 두 선이 수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직한 모양을 기준으로 만든 삼각형이 바로 아래 오른쪽 그림이죠. 공간에서 이해해보면 활동지에 있는 점 a1, a2, a3를 연결한 삼각형을 말합니다. 슈바르츠 교수는 뫼비우스 띠를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의 비율을 이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2호선을 강조한 이유가 있다. 권 팀장은 “서울시 한가운데에 원을 넣은 이유는 이 원을 기준으로 방위를 찾으라는 의도”라며 “자신이 찾아야 할 역이 원을 기점으로 어디에 있는지 생각하며 더 직관적으로 길을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노선이 세 개 이상 지나가는 주요 환승역들은 원을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