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계라니가 알려주는 쉬운 나눗셈 방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계산한 거랍니다.” 보구리가 활짝 웃으며 말했어요. “계라니야, 정말 고마워. 네 덕분에 곱셈과 나눗셈이 유용하다는 걸 알게 됐어. 게다가 손님들이 라면을 맛있게 먹는 것도 확인했지. 이만하면 자신있게 라면 가게를 열어도 되겠어. 내 특제 라면의 이름은 ‘곱하고 나누면’이라고 지어야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더위를 피하려던 임금님, 사기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구름이 만들어지고 비가 내리고 바람이 부는 기상 현상은 해양과 대기의 순환 덕분에 일어나요. 이 때문에 바닷물의 온도는 주변 기상 현상에 큰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엘니뇨 현상이 나타나면 동태평양 지역에선 상승 기류가 강화돼, 큰 구름이 생기고 많은 비가 내립니다. 반대로 서태평양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수학 문제에 물리학적 관점을 도입해 수학적으로 정확한 결과를 냈지요. 이러한 발견 덕분에 수학자들은 수학 문제를 푸는 데에도 물리학적 아이디어를 사용하면 새로운 구조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또 그는 수학 난제인 *양의 에너지 정리를 해결했어요. 영국 수학자 마이클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위치든 위도와 경도 좌표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위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북극성 덕분에 오래전부터 알았다. 밤하늘의 북극성이 지표면 가까이 보일수록 북극에서 멀어져 적도 쪽으로 가는 것이다. 하지만 정확한 경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찾아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이는 정밀한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피리나의 등 부분은 육각형 모양의 구아닌 결정 층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런 구조 덕분에 사피리나는 빛의 각도에 따라 붉은색, 푸른색, 에메랄드색 등 다양한 색깔로 보이게 되는데요. 특정 각도로 빛을 비추면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자외선으로 바뀌면서 우리 눈에 투명해질 수도 있습니다 ...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컴퓨터가 이를 포착해 상황실로 알림을 보내요.” 이런 알림이 가능한 건 분석기 덕분이에요. 영상 분석 기업 핀텔의 황유동 연구소장은 “카메라가 1초에 30장씩 사진을 찍어 분석기에 보내면, 분석기는 사진들을 비교해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한 방향과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물리학 이론을 이용해 수학 문제를 해결하고, 현대 수학에 지대한 영향을 준 공로 덕분이었습니다. 고전역학의 토대를 만들고 미적분학을 창시한 아이작 뉴턴을 떠올리면 물리학을 연구하는 사람이 당연히 수학도 연구한다고 생각하기 십상인데요. 뉴턴이 살던 17, 18세기를 너머 20세기에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관한 지식이 거의 없었어요. 결정을 내릴 당시에 우연히 좋은 물리학책을 골라 공부한 덕분에 물리학으로 정했다고 생각해요. 다시 돌아가도 그때와 동일하게 이론물리학과 수학 사이에서 고민할 것 같아요. Q. 물리학자로서는 유일한 필즈상 수상자로 아직도 회자가 됩니다. 필즈상을 받았을 때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011년의 저는 참 미숙했는데, 버클리에서 만난 그 학생이 “제가 여기 있는 건 선생님 덕분이예요.”라면서 “저희에게 해주셨던 것처럼 후배들에게도 해주세요.” 하더라고요. 그 말이 지금까지 참 깊이 울립니다. 드라마 ‘슈룹’을 보면서도 떠올렸는데, 저는 우산을 접고 학생들과 함께 비를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료용 로봇을 움직이게 하는 원천은 로봇에 실린 산화철 가루인 자성나노입자(MNP)다. 덕분에 외부 자기장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자성나노입자가 몸속에 남을 경우 독성을 띨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에 연구팀은 몸속에서 자성나노입자를 다시 회수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약물을 전달하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