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강조했지요. 김정 편집장은 “대원들이 다양한 탐사 데이터를 올려준 덕분에 과학 논문 4편이 출간됐고,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를 지킬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발대식에 온 대원들은 인생네컷 사진도 찍고, 지사탐 티셔츠도 입어보며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어요. 그리고 한 해 ... ...
- [SF소설] 완벽한 돌봄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안에 뜨거운 물만 부으면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이 사흘에 한 번, 아홉 포씩 공급되는 덕분이다.하긴, 집에서 뭔가를 요리하고 싶어도, 그건 불가능하다. 이곳엔 가게가 없고, 그 흔한 편의점도 없으며, 어딘가 꽤 떨어진 마을에 마트가 있다고는 하나, 거기까지 갈 교통수단 또한 없으니까. 여긴 ... ...
- [제로슈거] 음료부터 과일, 약까지 점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알룰로스,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등이 적혀 있었습니다. 이러한 인공 감미료 덕분에 제로 슈거는 설탕 없이도 단맛이 나는 거예요. 인공 감미료에서 단맛이 나는 건, 인공 감미료가 혀 속에 있는 감미료의 단맛을 감지하는 수용체를 자극하기 때문이에요. 우리 혀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 ...
- [가상 인터뷰] 제임스 웹, 최초로 외계 행성 온도 측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이번이 처음이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행성 밝기의 아주 미세한 변화를 감지해낸 덕분이지. 트라피스트-1b 말고도 트라피스트-1 주위에는 행성이 6개 더 있어. 연구팀은 이번에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의 관측 능력을 확인한 만큼 다른 행성들에 대해서도 흥미로운 사실들이 밝혀질 거라고 ... ...
- [숫자로 보는 뉴스] 농게 눈 닮았네! 360° 찍는 카메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다른 곳을 볼 수 있지만, 겹눈을 가진 농게는 여러 방향을 한 번에 볼 수 있지요. 그 덕분에 물속에서도, 물 밖에서도 빠르게 주위를 살펴 살아남을 수 있어요. 이런 농게의 눈을 본떠 만든 동그란 공 모양의 카메라는모든 방향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요. 연구팀이 만든 카메라는 지름이 약 2cm인 ... ...
- IMO 2023 그 뒷 이야기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열리는 만큼 그 특성을 살려주고자 문제에 닌자 경로라는 이름을 썼어요. 이 용어 덕분에 많은 학생이 시험 시간에 더욱 문제를 친근하게 느꼈다고 합니다. 박 부팀장을 비롯해 여러 코디네이터들은 시험 2일 전 담당할 문제와 채점 기준을 전달받았어요.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4학년인 안정현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한국 대표가 된 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2017년 ‘루마니아수학마스터대회(RMM)’ 덕분이에요.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뒤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마구마구 올라갔어요. 계속 경시대회에 도전하다 보니 실력이 쌓였고, IMO 대표까지 됐을 때는 자신감이 더 생겼어요. 저는 같은 실력을 갖고 ... ...
- 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감동할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때문만은 아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사진에 색을 입히고 감동을 불어넣는 사람들 덕분이기도 하다. 생각해보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관측하는 이미지는 흑백이어야 한다. 인간의 눈이 볼 수 없는 적외선 파장대를 관측하기 때문이다. 제임스 웹의 흑백 이미지에 색을 덧입히는 과정은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EHT 프로젝트는 2019년 4월 10일, 블랙홀을 관측한 전파 데이터를 최초로 시각화했다. 덕분에 인류가 블랙홀 상상도가 아닌 직접 관측한 블랙홀 사진과 영상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지구로부터 55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A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태양 질량보다 65억 배 무거운 초대질량 블랙홀, M87*이 ... ...
- [가상 인터뷰] 곤충 톡토기 피부 모방해 막히지 않는 인공 혈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톡토기는 피부 표면에 난 버섯 모양의 돌기로 호흡을 방해하는 물과 기름을 밀어내. 덕분에 톡토기는 축축한 땅속에서도 숨을 잘 쉴 수 있어. 과학자들이 네 능력으로 새로운 걸 개발했다고? 4월 3일,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 외 공동 연구팀은 톡토기의 피부 구조를 모방해 혈전을 예방하는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