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다루기 위해 여러 교과의 지식을 어떻게 활용할지 학생 스스로 생각하는 방식을 익히는 덕분이죠. 강동고 졸업생 중 STEAM 프로그램을 특히 잘 활용했던 학생은 화학공학과 진학을 목표로 준비했습니다. 학생과 자주 대화하며 이 목표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제안했죠. 그중 전도성 고분자를 입혀 ... ...
- [가상 인터뷰] 곤충 톡토기 피부 모방해 막히지 않는 인공 혈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톡토기는 피부 표면에 난 버섯 모양의 돌기로 호흡을 방해하는 물과 기름을 밀어내. 덕분에 톡토기는 축축한 땅속에서도 숨을 잘 쉴 수 있어. 과학자들이 네 능력으로 새로운 걸 개발했다고? 4월 3일,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 외 공동 연구팀은 톡토기의 피부 구조를 모방해 혈전을 예방하는 ... ...
- [헷갈린과학] 바닷속이 알록달록! 해면 vs 산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뒤 식세포로 옮겨 소화를 시켜요. 이는 해면의 몸 안쪽에 나란히 자리 잡은 금세포 덕분이에요. 금세포에는 꼬리처럼 생긴 편모가 물의 흐름을 일으켜 바닷물을 해면의 몸속으로 들어오게 한답니다. 산호 바다의 꽃이라 불리는 산호는 생김새 때문에 식물로 종종 오해받지만, 사실은 바다에 사는 ... ...
- IMO 2023 그 뒷 이야기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열리는 만큼 그 특성을 살려주고자 문제에 닌자 경로라는 이름을 썼어요. 이 용어 덕분에 많은 학생이 시험 시간에 더욱 문제를 친근하게 느꼈다고 합니다. 박 부팀장을 비롯해 여러 코디네이터들은 시험 2일 전 담당할 문제와 채점 기준을 전달받았어요.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4학년인 안정현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한국 대표가 된 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2017년 ‘루마니아수학마스터대회(RMM)’ 덕분이에요.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뒤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마구마구 올라갔어요. 계속 경시대회에 도전하다 보니 실력이 쌓였고, IMO 대표까지 됐을 때는 자신감이 더 생겼어요. 저는 같은 실력을 갖고 ... ...
- [인터뷰] 헤일메리 과학굿즈 작가 “우주와 인간 문명이 만나 우연히 만들어지는 로맨틱한 이야기를 좋아해요”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쓰더라”면서 “천문학자를 꿈꾸는 아기가 엄마 손을 잡고 그 컵을 사 가고요. 저 컵 덕분에 신기한 일들이 많이 생겨서 저 컵을 좋아한다”고 했습니다. “제가 생각해도 엄청 잘 만들었어요(웃음).” 굿즈가 사랑을 받으면서 책임감도 늘었습니다. 점차 대중과학에 미칠 영향을 생각하게 된 거죠. ... ...
- [과학사 극장] 다윈은 용물용설을 부정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널리 인정받았다. 다윈은 따개비 연구 프로젝트로 얻은 자연사학자의 명성 덕분에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진화론을 더 많은 동료들에게 소개했고, 1854년 9월부터 진화 연구로 본격적으로 복귀했다. 진화론 연구에 필요한 전문성과 명성을 갖추기 위해 따개비 전문가가 된 다윈은 소심하다기보다는 ... ...
- [기획] 베토벤 음악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소리를 모아 다른 곳으로 소리가 퍼지거나 사라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덕분에 원래보다 약 10-15㏈(데시벨) 크게 들리는 효과가 있지요. 한림대학교 언어청각학부 진인기 교수는 “나팔형 보청기는 원리와 형태로 볼 때 최초의 보청기라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베토벤은 ... ...
- [숫자로 보는 뉴스] 농게 눈 닮았네! 360° 찍는 카메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다른 곳을 볼 수 있지만, 겹눈을 가진 농게는 여러 방향을 한 번에 볼 수 있지요. 그 덕분에 물속에서도, 물 밖에서도 빠르게 주위를 살펴 살아남을 수 있어요. 이런 농게의 눈을 본떠 만든 동그란 공 모양의 카메라는모든 방향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요. 연구팀이 만든 카메라는 지름이 약 2cm인 ... ...
- [과동키즈] 핼리혜성을 쫓다가 인공태양에 이르렀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개발해야 한다. 과학동아를 보며 슈퍼컴퓨터와 관련된 지식들을 꾸준히 습득한 덕분인지, 수만 줄에 이르는 프로그램도 포기하지 않고 완성할 수 있었다. 어린 시절의 상상이 이끌어준 인공태양 돌이켜 보면 학창 시절 과학동아는 내게 구글이나 유튜브였다. 시간이 나면 습관처럼 그림,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