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로 보는 뉴스] 농게 눈 닮았네! 360° 찍는 카메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다른 곳을 볼 수 있지만, 겹눈을 가진 농게는 여러 방향을 한 번에 볼 수 있지요. 그 덕분에 물속에서도, 물 밖에서도 빠르게 주위를 살펴 살아남을 수 있어요.   이런 농게의 눈을 본떠 만든 동그란 공 모양의 카메라는모든 방향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요. 연구팀이 만든 카메라는 지름이 약 2cm인 ... ...
                            
 
                        
                        
                                            
                                                            
                                                             - IMO 대표를 수학자로 이끈 결정적 순간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수 있었던 것이 훗날 수학자가 되어서 큰 도움이 됐어요.   저는 ‘근거 없는 자신감’ 덕분에 수학 올림피아드에 입문했어요. 초등학교 4학년 때 학습지 경시대회에 참가해서 1700등을 했는데 아주 잘했다고 착각했어요. 어릴 때라 한 학년에 100만 명은 있는 줄 알았어요. ‘2달 공부해서 좋은 ... ...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다루기 위해 여러 교과의 지식을 어떻게 활용할지 학생 스스로 생각하는 방식을 익히는 덕분이죠. 강동고 졸업생 중 STEAM 프로그램을 특히 잘 활용했던 학생은 화학공학과 진학을 목표로 준비했습니다. 학생과 자주 대화하며 이 목표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제안했죠. 그중 전도성 고분자를 입혀 ... ...
                            
 
                        
                        
                                            
                                                            
                                                             - [제로슈거] 음료부터 과일, 약까지 점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알룰로스,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등이 적혀 있었습니다. 이러한 인공 감미료 덕분에 제로 슈거는 설탕 없이도 단맛이 나는 거예요. 인공 감미료에서 단맛이 나는 건, 인공 감미료가 혀 속에 있는 감미료의 단맛을 감지하는 수용체를 자극하기 때문이에요. 우리 혀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 ...
                            
 
                        
                        
                                            
                                                            
                                                             - [통합과학 교과서]  손끝으로 읽는 점자책을 만들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가볍고 부드러운 촉감도 느낄 수 있지요. 점자를 읽을 수 있는 것도 마이스너 소체 덕분이에요. 손가락 끝에는 ‘메르켈 원반’이라 불리는 수용체도 많아요. 손가락으로 입술을 지그시 누르는 정도의 가벼운 압력과 느린 진동에 반응하고, 물체의 모양(테두리나 모서리), 오목함과 볼록함을 감지할 ... ...
                            
 
                        
                        
                                            
                                                            
                                                             - [냠냠! 어수잼] 완벽한 '원'은 지름에서부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수 있어. 삼각형, 사각형처럼 각이 있는 다각형과는 달리 모난 부분 없이 둥글잖아. 덕분에 앞으로도, 뒤로도 잘 굴러가지. 그보다 더 중요한 원의 성질이 있어. 바로, 원 위의 어느 점에서 지름을 긋든 그 길이가 항상 같다는 거야. 바퀴가 잘 굴러가려면 바퀴의 높이가 일정해야 하거든. 높이가 ... ...
                            
 
                        
                        
                                            
                                                            
                                                             - 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감동할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때문만은 아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사진에 색을 입히고 감동을 불어넣는 사람들 덕분이기도 하다.  생각해보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관측하는 이미지는 흑백이어야 한다. 인간의 눈이 볼 수 없는 적외선 파장대를 관측하기 때문이다. 제임스 웹의 흑백 이미지에 색을 덧입히는 과정은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EHT 프로젝트는 2019년 4월 10일, 블랙홀을 관측한 전파 데이터를 최초로 시각화했다. 덕분에 인류가 블랙홀 상상도가 아닌 직접 관측한 블랙홀 사진과 영상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지구로부터 55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A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태양 질량보다 65억 배 무거운 초대질량 블랙홀, M87*이 ... ...
                            
 
                        
                        
                                            
                                                            
                                                             - [과학사 극장] 다윈은 용물용설을 부정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널리 인정받았다. 다윈은 따개비 연구 프로젝트로 얻은 자연사학자의 명성 덕분에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진화론을 더 많은 동료들에게 소개했고, 1854년 9월부터 진화 연구로 본격적으로 복귀했다. 진화론 연구에 필요한 전문성과 명성을 갖추기 위해 따개비 전문가가 된 다윈은 소심하다기보다는 ... ...
                            
 
                        
                        
                                            
                                                            
                                                             - 냠냠! 어수잼 ④ 이제 표지판을 만들 차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박사가 됐는걸?” 비요가 칭찬하자, 네몽이 쑥스러워하며 대답했어요. “다 비요 네 덕분이야. 고마워! 너를 위해 커다란 꿀통을 준비했어.” 비요는 기쁜 마음으로 네몽의 선물을 받았어요. 네몽은 비요가 준 표지판에 '네몽의 네모 놀이터’라고 적었지요. 네몽과 비요는 네모 놀이터에서 함께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