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빙결
응고
d라이브러리
"
동결
"(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생긴지가 몇년 되지 않아 졸업생수가 아직 얼마 안되는 탓도 있지만 '수도권대학 정원
동결
'이라는 방침에 묶여 학과신설이 지방대학이나 분교에 집중됐기 때문에 기업체나 연구소에서 이들을 탐탁치않게 여기고 있다고 한다. 또 유전공학 같은 분야는 개설 당시 예상했던 것보다 졸업생들의 진로가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표1). 주목할만한 사실은 학사급의 연구원은 현재의 대학정원이
동결
된다해도 약간의 공급과잉현상이 초래되지만 석사 박사급의 연구인력은 크게 모자란다는 예측이다.박사의 경우는 현재 1천여개를 헤아리는 기업연구소에 5백여명선 밖에 확보돼 있지 않아 연구소 당 박사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들 동물은 '기관의
동결
보존 방식'(살아있는 조직을 보존해 후에 사용하기 위해
동결
시키는 방식)을 마스터한 것임에 틀림없다.몸이 언다고 하는 것은 생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에는 치명적이다. 얼음결정은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 세포내 기관들을 파괴시킨다. 그렇다면 모든 대사(代謝)는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데 이때 몸속에서는 동해(凍害)방어물질을 만들어 내 세포물질의
동결
을 예방한다.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활단계별 태를 달리하는 변태(變態)도 곤충만이 갖는 생존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파리나 나비류와 같이 번데기 과정을 거치는 완전변태류에서는 ... ...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관변 어용기관으로 전락했다고 주장한다.서로 눈치를 보면서 80년이후 86년까지 임금을
동결
했기 때문에 연구원들의 처우 또한 나쁘다. 이 때문에 고급인력들이 기업연구소 등으로 빠져나가 연구프로젝트가 도중에 중단되기도 한다.연구소가 정부의 일괄 통제밑에 들어가 연구주제의 선정에서부터 ... ...
근시·원시·난시를 수술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환자의 각막실질을 추출해
동결
시킨다. 이어 컴퓨터로 원하는 크기와 도수를 계산해
동결
된 각막실질을 깎는다. 그런 뒤에 다시 환자의 각막에 이식하는 것이다. 이 수술은 환자자신의 각막을 이용할 수 있고 근시나 원시를 쉽게 교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장비가 고가고 수술방법이 ... ...
CFC대체물질 기술개발 서둘러야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이르렀다. 그 내용은 △ 90년까지 오존층 파괴물질인 CFC의 사용량을 86년 수준으로
동결
하고 △ 99년까지는 86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이며 △ 이에 동조하지 않는 국가에 대해서는 90년대 중반부터 CFC를 사용한 자동차 냉장고의 수입을 규제한다는 것이다. 현재 이 협약에 가입한 나라는 55개국이다 ... ...
매머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사체 매머드는 끓여 살을 발라내고 골격만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한편 매머드의
동결
된 조직은 미생물의 생존능력, 세포구조의 보존도, 단백질의 조성과 진화연구, 지질년대 결정에 중요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이번에 (잠실 롯데백화점, 4월18일~5월18일) 전시 된 매머드 골격은 1986년 야쿠츠크 ... ...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성공사례는 없다.대리모를 알선해 준다현재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은 수정란이나 정자의
동결
기술로 무기한 보존이 가능해짐에 따라 생명체의 개념을 어디에서부터 보아야 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또 이같은 방식으로 태어난 아기의 현행 법적 지위 및 권리에 관한 문제(친자 및 상속권 등)를 들 수 ... ...
과학ㆍ기술계의 반응 심각 병역특례 축소에 따른 부작용 우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최근 "지난 3년 동안 기업연구소 연구요원 특례대상은 1천2백명으로
동결
된 반면 연구소 수는 2백90개에서 6백4개(88년말)로 2배 이상 늘어나 오히려 규모의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민간기업에 주어지는 특례대상인원은 재벌급 기업에만 집중돼 더 불리한 여건에 있는 중소기업에는 전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