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머
장도리
메
못정
창
도끼의 자루
쇠망치
d라이브러리
"
망치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시절 그는 종종 할아버지를 따라 대장간에 놀러갔다. 대장장이가 불에 달궈진 무쇠를
망치
로 두들겨 낫과 괭이 같은 다양한 도구를 만드는 과정이 호기심 많은 소년의 눈을 사로잡았다. 집에 돌아와서도 대장장이 흉내를 냈다. 할아버지의 연장통에서 못을 꺼내 부뚜막 아궁이에 넣어 달군 뒤 ... ...
24년 전통의 ‘자동차 명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125cc)을 사용했다. 엔진 가격만 100만 원이다. F
망치
와 스패너 카스 회원들의 손과 발인
망치
와 스패너. 카스 회원들은 방학 동안 펜을 잠시 놓고 공구를 손에 들었다. “‘써스’ 이상무, ‘스티어링’ 이상무!” 지난 8월 8일 오후 2시, 34℃가 넘는 찜통더위에 산소용접기가 뿜어내는 열기가 더해져 ... ...
1. 두께 1m 얼음 깨며 나가는 북극 첨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전쟁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얼음을 깨고 나가는 배’인 쇄빙선. 물론 쇄빙선이 실제로
망치
나 드릴로 얼음을 부수는 건 아니다. 같은 급의 보통 선박보다 추진력이 2~4배 강한 엔진으로 마치 씨름에서 밀어치기를 하듯 얼음을 밀어 깨뜨린다. 배의 앞부분은 보통 선박의 2배 두께의 강철판으로 ... ...
진동으로 전해지는 짜릿한 선율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소리는 뼈의 진동으로도 전해진다. 바이브비에스는 기존 이어폰에 이 기능을 추가했다.
망치
뼈, 모루뼈, 등자뼈로 이뤄진 청소골은 고막의 진동을 뼈의 진동으로 바꾸며 소리를 증폭시킨다. 바이브비에스에는 청소골과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인 ‘골전도 진동자’가 있다. 귀 연골로 전달된 진동은 ... ...
캄캄한 '그곳'에서 '오래된 시간'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D. 지역지도동굴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베이스캠프나 동굴의 위치가 표시돼 있다.E.
망치
수직 동굴을 오르내릴 때 동굴자일을 고정시킬 침을 벽에 박는 데 쓴다.F 무전기휴대전화가 터지지 않는 깊은 숲이나 동굴에서 필수. 지난 6월 10일 오후 1시. 동국대 동굴탐험연구회 회원 두 사람이 동국대 ... ...
뜯어봅시다 닌텐도 Wii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캐릭터의 등을 동시에 막대로 찌르는 행동을 반복했다. 그 뒤 가상 세계에 있는 캐릭터를
망치
로 때리자 실험자는 실제로 자신이 위협을 받는 것처럼 긴장하며 땀 분비량이 늘었다.이는 시각과 촉각을 일치시키려는 뇌의 작용 때문에 발생한다. 등을 찌르는 자극이 반복해서 동시에 일어나자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지금 막 출발하려고 하는 증기기관차의 연기에서 나는 냄새가 나요.” (청각의 후각화)“
망치
질을 하다가 잘못해서 엄지손가락을 쳤을 때 느껴지는 통증은 짙은 보라색이고 구석이 둥근 삼각형의 모양으로 보여요.” (촉각의 시각화)공감각은 한 가지 감각 양태 안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이 글의 ... ...
신의 눈 피라미드부터 크롭 서클까지 미스터리의 장(場)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밟힌 삼엽충 모양의 화석이 발견되고 중생대 백악기 지층에서 순도 100%의 철로 만들어진
망치
가 발굴됐다는 것이다. 현대과학자의 눈으로 보면 이들의 주장이 허무맹랑해 보이지만, 이들은 탄소 반감기를 이용해 연대를 측정하는 탄소연대측정법으로 유물의 ‘나이’를 가늠했다. 과학적으로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생체정보가 담긴 *RFID칩을 망가뜨리기 위해 여권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리거나
망치
로 칩을 두드리고 있는 거지. 여권에 사용된 RFID 칩은 무선으로 정보를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정보가 유출되기 쉽대. 이런 우려를 없애기 위해 여권이 닫혀 있을 때는 칩의 정보를 읽을 수 없는 차폐막이 설치되어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권상훈 교수는 “다른 돌과 달리 화강암은
망치
로 세게 내려쳐도
망치
가 튕겨나갈 만큼 단단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돌로 쌓은 성벽은 돌과 돌의 이음새가 딱 들어맞지 않아 마찰력이 작다. 화포공격을 받아 돌이 빠져나가거나 일부만 부서져도 성곽 전체가 균열될 위험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