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머
장도리
메
못정
창
도끼의 자루
쇠망치
d라이브러리
"
망치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아이맥의 디자인은 바로 폴리카보네이트 덕분에 탄생할수있었던 거야. 얇고 가볍고
망치
로 때려도 깨지지않는 안경렌즈, 트럭에 깔려도 멀쩡하다고 광고하는 휴대전화는 모두 폴리카보네이트의 작품이야.유리에는 빛을 산란시키는 결정이 없어 모든 빛을 투과시키므로 투명해 보여. 여기에 다양한 ... ...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외부의 힘을 뜻한다. 스펀지를 누르는 손가락 힘이나, 칼을 만들 때 쇠를 두드리는
망치
의 힘이 모두 스트레스다.그렇다면 스트레스는 인간에게 어떤 의미일까?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경진 교수는 “스트레스는 인간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라며 “스트레스는 위험이 닥쳤을 때 순간적으로 큰 ... ...
돌이라고 다 같은 돌은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주었을 때 흑운모는 얇은 판 모양으로, 장석은 두꺼운 판 모양으로 쪼개진다. 감람석을
망치
로 두드려 보면 일정한 모양 없이 깨지고 석영은 뾰족하게 깨진다.기준 다섯 : 단단함여섯 가지 조암광물 중 어느 것이 가장 단단할까? 두 광물을 서로 긁어 보았을 때 긁히는 쪽이 더 무른 광물이다. ... ...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세탁기를 돌리는 역학적 에너지로 바뀐다. 태양에너지는 전기에너지를 만든다.
망치
로 금속을 여러번 때리면 금속이 뜨거워지는데, 역학적 에너지가 열을 만드는데 쓰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 형태의 에너지는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열의 정체는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나 분자의 운동에너지 ... ...
사과 원자, 포도 분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레우키포스와 함께 기원전 400년경‘원자설’을 주장했다.길거리에 굴러다니는 돌을
망치
로 쪼개보자. 돌을 반으로 쪼개면 똑같은 성질을 갖는 두개의 돌덩이로 나뉜다. 더 작게 쪼개도 모양만 작아질 뿐 성질은 변하지 않는다. 돌이 금이 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데모크리토스는 여기에서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고군분투하고 있다. ‘로봇 지질학자’(robot geologist)란 애칭으로 불리며 지질학자의 암석
망치
대신에 전기드릴을 장착하고 과거의 역사를 말해 줄 특이한 암석을 찾아 돌아다님으로써 30년 전 고정형 착륙선인 바이킹호가 감히 엄두도 못 냈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이동형 탐사로봇이 분주하게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그리고 이 녀석들이 내 놓을 엄청난 배설물은 또 어떡하고!” 갑자기 공수표 씨는
망치
를 던지며 크게 절규할 수밖에 없었다.“으아아〜! 나보고 어떡하라구! 너무 불편해! 제발 나라에서 화폐 좀 만들어 줘요"화폐가 없으면 얼마나 불편한지 실감나지요? 화폐는 이렇게 중요하답니다. 화폐가 정확히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귓바퀴에 의해 모아지고 외이도를 통해 고막에 전달됩니다. 고막은 공기의 진동을 받아
망치
뼈와 모루뼈, 등자뼈를 통해 음파를 크게 만들어 달팽이관에 전달하지요. 달팽이관에 전달된 음파는 달팽이관 안의 코르티기관의 털세포에서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어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된답니다 ... ...
물리학은 잠시 잊어 버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3’에 나오는‘마운트 킹’이라는 캐릭터입니다. 수 십킬로그램이넘는무거운도끼와
망치
를마구휘두르며 싸우는 용맹한 영웅이지요. 엄청나게 무거운무기를마치장난감다루듯이다루기때문에게 임 속에서 인기도 무척 많습니다. 심지어 부메랑처럼 던졌다 받기도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도 이렇게 ... ...
우리는 어떻게 행동을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위한 진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의사가 척수반사 활동을 확인하기 위해 무릎을 진단용
망치
로 두드리는 것이 좋은 예다.뇌는 감마운동신경세포라는 별도의 운동신경세포를 통해 근방추의 감수성을 조절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사람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운동 형태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