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버려진 찌꺼기가 과자로! 업사이클드 푸드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과자, 쫀드기. 이 제품들은 모두 식품 찌꺼기로 만들어진 것이에요.버려진 찌꺼기가 어떻게 다시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걸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버려진 찌꺼기가 과자로! 업사이클드 푸드Part1. 식품 찌꺼기의 변신! 업사이클드 푸드Part2. 업사이클드푸드 어떻게 ... ...
- 식품 찌꺼기의 변신! 업사이클드 푸드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차지하지요. 탄수화물과 단백질,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이 풍부해 사람이 먹을 수 있지만 모두 버려집니다. 이외에도 두부를 만들고 남은 콩 비지나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되고 남은 보리박도 식품 부산물에 속해요.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는 “식품 부산물은 대부분 바로 먹기에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너비 157m, 높이 112m에 달하는 이 건축물의 이름은 바로 스피어! 스피어의 바깥과 안쪽은 모두 LED로 덮여있습니다. 그래서 스피어 바깥은 LED 영상에 따라 농구공이나 눈, 얼굴, 지구, 달 등 자유자재로 변신해요. 스피어 안쪽에는 사방을 둘러싼 화면과 16만 개의 스피커가 있어 스피어만의 독보적인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끼우고, 4개의 바퀴에 긴 무한궤도 벨트를 걸면 탱크 본체 완성! 배터리 박스에 배터리를 모두 채웠다면, 이제 리모컨 버튼을 눌러 탱크를 마음껏 조종해 보세요. 알아보자! 재난 현장으로 출동! ‘로봇 탱크 의사’ 등장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쓰러지면 누가 구해 줄 수 있을까요? 2023년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는 어려운 개념이 아니라 결국 수이다 보니,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심지어 부원 모두가 가장 좋아하는 소수가 있다. 전민성 학생은 “317이 그 자체로도 소수고, 뒤집은 713은 물론 31을 7로 나눠도, 숫자를 재배열해 173을 만들어도 소수라는 점을 알게 돼 317을 가장 좋아한다”라며, “317이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모두 모아야 인간다워진다인간다운 범용 로봇을 만들기 위해선 첨단 로봇기술이 모두 모여야 한다. 우선 하드웨어다.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재료로 뼈대를 만들어야 하니 재료공학적으로 뛰어난 소재를 활용해야 한다. 한 번의 충전으로 장기간 작동해야 하니 배터리 경량화도 필수다. 섬세한 ...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남았고, 컨설팅의 문제 해결에 직접 활용됐습니다. 탄탄한 구조와 근거 위에서 내 주장을 모두에게 설득한다는 본질이 같았으니까요. 일을 하며 특히 어려운 사안을 만났을 땐, 해석학의 증명 하나를 이해하려 며칠 밤 고민했던 경험을 떠올리며 ‘그때에 비하면 이건 훨씬 쉬워’ 라고 스스로를 ... ...
- 업사이클드푸드 왜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참깨에 들어있는 물질이에요. 참깨에서 기름을 짜내면 리그난 중 기름에 녹는 성분이 모두 빠져나가죠. 김 연구원은 참깨박을 물과 에탄올에 넣어 추출한 결과, 물에 녹는 리그난이 참깨박 100g당 약 10mg만큼 남아있는 것을 확인했어요. 김 연구원은 “참깨박 등의 유박은 기름만 짜고 남은 원료이기 ... ...
-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적는다. 먼저 1을 지운 뒤, 남아 있는 가장 작은 수에 동그라미를 치고 그 수를 뺀 배수는 모두 지우다. 이 과정을 반복한 뒤 가장 작은 수가 √N을 넘으면 이 행위를 멈춘다. 어떤 수가 합성수라면 √N 이하면서 1과 자기 자신이 아닌 약수를 반드시 가지기 때문에 남은 수는 소수가 된다. 정리하면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켜놓으면 알아서 계속 검사한다. 35번째부터 51번째로 알려진 메르센 소수까지 모두 GIMPS 덕분에 발견했다. 이렇게 최근 발견한 최대 소수가 메르센 소수인 이유는 간단하다. 메르센 소수를 찾는 알고리듬만큼 획기적으로 소수를 판별하는 알고리듬이 없다는 이유, 그 하나다. GIMPS를 통해 메르센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